삼례집회 ()

근대사
사건
1892년 10월과 11월에 걸쳐 동학교도가 최제우(崔濟愚)의 신원(伸寃)을 요구하며 전라도 삼례에서 개최한 집회.
정의
1892년 10월과 11월에 걸쳐 동학교도가 최제우(崔濟愚)의 신원(伸寃)을 요구하며 전라도 삼례에서 개최한 집회.
역사적 배경

1890년대 초반 사회적 모순이 심화됨에 따라 수많은 민중들이 새로운 이상세계를 약속하는 동학에 투신하였다. 반면 동학을 주2로 규정한 정부는 동학교도들을 강력하게 탄압하였다.

이렇게 되자 서인주(徐仁周) · 서병학(徐丙鶴) 등 지도적 지위의 동학교도가 중심이 되어 최제우 신원운동을 전개해 신앙의 자유를 획득하려고 하였다.

경과와 결과

삼례집회가 개최되기 전에 1,000여 명의 동학교도들은 이미 공주에서 집회해 충청감사 조병식(趙秉式)에게 최제우의 신원을 요구하였다.

이 공주집회는 비록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조병식으로부터 동학교도에 대한 관리의 침탈을 금지한다는 약속을 받아냈기 때문에, 다시 전라감사 이경직(李耕稙)에게도 신원을 주3하기 위해 또 다른 집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집회지는 전라도뿐 아니라 충청도의 교도들도 쉽게 참석할 수 있는 교통의 요지인 삼례가 선정되었다. 재차 삼례에 모인 수천명의 동학교도들은 이경직에게 최제우의 신원과 관리의 탐학 금지, 그리고 이런 사실의 중앙정부에로의 보고를 몇 차례 요구하였다. 그러나 감사로부터 자신은 권한이 없다는 말 이외에는 다른 만족할 만한 대답을 듣지 못하였다.

이런 결과에 대해 참가 교도들은 크게 반발했으나, 손천민(孫天民)을 비롯한 지도부의 거듭된 권유로 해산하고 말았다. 이후 동학은 여전히 사교라는 혐의를 벗어나지 못했고, 교도들 또한 관리들의 침탈을 면하지 못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삼례집회가 동학과 그 이후의 사태 전개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비중은 상당히 크다. 첫째, 참가교도들이 강렬한 종교적 열망과 현실대항적 정치의식이 중대하게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한 면모를 보이던 최시형(崔時亨)의 종교적 권위가 재천명되기도 했으나, 대항적 성격이 강한 교도들이 이 집회 이후 다른 노선을 취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외국인과 천주교에 대한 대립의식이 분명하게 표출되어 척왜양(斥倭洋)의 목표가 설정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었다. 넷째, 이러한 교도들의 분위기는 지도부가 인정하지 않은 금구집회(金溝集會)가 열리도록 하였고, 서울에서의 주1상소(伏閤上疏)를 결행하도록 한 원동력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韓國民衆運動史資料大系)』1 -1894년의 농민전쟁(農民戰爭)-(여강출판사, 1985)
『천도교회사(天道敎會史) 초고(草稿)』 -동학사상자료집(東學思想資料集) 1-(아세아문화사, 1979)
「동학(東學)의 대선생신원운동(大先生伸寃運動)에 관한 일고찰(一考察)」(장영민, 『백산박성수교수화갑기념논총(白山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의 인식(認識)』, 1991)
「1892·1893년의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과 그 성격(性格)」(김의환, 『한국사연구』 5, 1970)
주석
주1

나라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에 조신(朝臣)이나 유생이 대궐 문 앞에 엎드려 상소하던 일. 우리말샘

주2

건전하지 못하고 요사스러운 종교. 흔히 그 사회의 도덕이나 제도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우리말샘

주3

소장(訴狀)을 관청에 냄. 우리말샘

집필자
장영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