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숙첨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추밀원지주사, 좌승선,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하동(河東)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추밀원지주사|우승선|참지정사
관련 사건
최충헌 모살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추밀원지주사, 좌승선, 참지정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하동(河東)으로, 형부상서 정세유(鄭世猷)의 아들이며 최우(崔瑀)의 장인이다. 하동정씨는 최씨정권을 지탱해주었던 4대 가문, 곧 경주김씨 · 철원최씨 · 정안임씨 · 하동정씨 중의 하나로서 최씨정권기 명문 벌족이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94년( 명종 24) 아버지가 반역한다는 대정(隊正) 이금대(李金大)의 무고로 형 정윤당(鄭允當)과 함께 유배되었다.

그 뒤 풀려나 1204년( 신종 7)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로서 승도(僧徒) 등이 최충헌(崔忠獻)을 암살하려고 하자 수창궁(壽昌宮)에 들어가 이를 구원하였다. 1206년( 희종 2) 좌승선(左承宣)으로 있을 때, 왕이 책명(冊命)을 받기 위해 정숙첨을 금사(金使)에게 보내 행례소(行禮所) 문제를 상의하였다. 1215년( 고종 2) 형 정진(鄭稹)과 함께 반역을 도모한다는 예부원외랑 윤세유(尹世儒)의 모함을 받았으나 무고임이 밝혀졌다.

이듬해 거란유종(契丹遺種)의 금산왕자(金山王子)가 무리를 이끌고 침입하자, 참지정사(參知政事)로서 행영중군원수(行營中軍元帥)가 되어 부원수 조충(趙冲)과 함께 염주(鹽州: 황해도 연안) · 배주(白州: 황해도 배천)의 적을 공격하기 위하여 흥의(興義) · 금교역(金郊驛) 사이에 진을 쳤다가 군중(軍中)이 놀라 달아나자 다시 국청사(國淸寺)로 옮겼다.

1217년 최충헌 모살사건에 연루되어 원수직에서 파면되고 하동에 유배되었다. 이는 정숙첨이 군중에서 최충헌이 왕실을 쇠잔하게 하고 적을 불러들였다고 비방한 것에서 빌미가 된 것인데, 이로 인해 최충헌이 죽이려 하였으나 최우가 힘써 구해주었다. 최충헌이 사망한 후 최우가 집권하여 최충헌의 실정을 극복한다는 명분으로 최충헌세력을 제거할 때에도 정숙첨은 살아 남았는데 이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밖에 정숙첨은 원수가 된 뒤로 군사들로부터 뇌물을 많이 받아 재산을 축적하여 군사들의 불평이 잦았다. 뒤에 평장사에 올랐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최씨집권기 정권의 기반과 정치운영」(오영선, 『역사와 현실』17, 1995)
「최충헌정권과 무인」(김당택, 『두계이병도박사구순기념 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
「최충헌정권의 성립과 그 성격」(임윤경, 『이대사원』20,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