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 ()

정지장군 갑옷
정지장군 갑옷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문하평리, 양광전라경상도도절제체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이칭
이칭
준제(准提), 경렬(景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47년(충목왕 3)
사망 연도
1391년(공양왕 3)
본관
나주(羅州)
주요 관직
중낭장|전라도안무사|지문하부사|문하평리|양광전라경상도도절제체찰사|판개성부사
관련 사건
관음포전투
정의
고려후기 문하평리, 양광전라경상도도절제체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초명은 정준제(鄭准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74년(공민왕 23) 유원정(柳爰廷)의 추천으로 주1으로 전라도안무사로 발탁되었다. 왜인추포만호(倭人追捕萬戶)를 겸하면서 양광도안무사 이희(李禧)와 여러 차례 방왜책(防倭策)을 건의, 백성들의 부담 완화와 전략의 효율화에 노력하였다.

1377년(우왕 3) 주2로서 순천도병마사가 되어 순천 · 낙안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연파하고, 이듬해 다시 영광 · 광주 · 담양 · 화순 등지의 왜구를 격파함으로써 전라도순문사가 되었다.

1381년 밀직(密直)으로 해도원수(海島元帥)가 되어 서남해에서 수차에 걸쳐 왜구를 소탕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이듬해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서 해도도원수 · 양광전라경상강릉도도지휘처치사(楊廣全羅慶尙江陵道都指揮處置使)가 되었다.

정지는 1383년 5월 왜선 120척이 침입해 온다는 급보를 받고 경상도로 가서 합포의 군사를 모아 정비하였다. 이때 왜구는 이미 관음포에 도달하였고 정지가 이끄는 군사와 박두양(朴頭洋)에서 대치하였다. 정지는 주3에서 선봉대선 17척을 완파하고 적을 크게 무찔렀다.

1384년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임명되어 보다 근원적인 방왜책으로서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對馬島]와 이키[壹岐島]의 정벌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1388년 최영(崔瑩) 등을 중심으로 요동정벌이 추진되자 우군도통사 이성계(李成桂) 휘하에 예속되어 안주도도원수로 출전하였으나 이성계의 주4 때 동참하였다. 이 때 다시 왜구가 창궐하므로 양광전라경상도도절제체찰사(楊廣全羅慶尙道都節制體察使)가 되어 남원 등지에서 적을 대파하는 공을 세웠다.

이듬해 우왕의 복위를 모의한 김저(金佇) · 변안열(邊安烈)의 사건에 연좌되어 경주(慶州) · 횡천(橫川)으로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 위화도회군의 공으로 2등공신에 봉해졌다. 1391년에는 윤이(尹彛) · 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청주옥에 갇혔으나 홍수로 풀려났다. 그 뒤 광주(光州)에 물러나 있던 중 판개성부사로 부름을 받았으나 부임하지 않고 별세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경렬(景烈)이다. 정지가 왜구를 물리칠때 직접 착용했던 갑옷이 후손에 의해 전해져 1963년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정지장군환삼(鄭地將軍環衫)이라 부른다. 여러 철판에 구멍을 뚫어 철제 고리로 연결되어 있는 갑옷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다. 현재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정지장군연구」(송정현, 『호남문화연구』25, 1997)
「고려말 정지와 최무선의 남해 관음포대첩」(정의연, 『경남향토사논총』Ⅵ, 1997)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둔 정오품의 무관 벼슬. 장군(將軍)의 아래, 낭장(郎將)의 위로, 각 영(領)에 두 명씩 두었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둔 예의사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삼품으로 공민왕 11년(1362)에 예부 상서를 고친 것으로, 18년에 잠시 없앴다가 다시 두어 공양왕 원년(1389)에 예조 판서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3

고려 우왕 9년(1383)에 정지가 남해 관음포(觀音浦) 앞바다에서 왜구를 상대로 크게 승리한 전투. 화포를 이용해 왜구의 대선 17척을 완파하고 2천여 명을 전사시켰다.    우리말샘

주4

고려 우왕 14년(1388), 명나라의 랴오둥(遼東)을 공략하기 위하여 출정하였던 이성계 등이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이켜 돌아가 왕을 내쫓고 최영을 유배한 뒤 정권을 장악한 사건. 조선 왕조 창건의 기반이 되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정학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