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곡정공 신도비 ( )

목차
관련 정보
제곡정공 신도비
제곡정공 신도비
서예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제곡 정광성의 신도비.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제곡정공신도비(濟谷鄭公神道碑)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1984년 11월 03일 지정)
소재지
서울 동작구 사당4동 산32번지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제곡 정광성의 신도비.
내용

1657년(효종 8) 건립. 총높이 235㎝, 비신의 높이 180㎝, 너비 64㎝, 두께 26㎝. 198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화강암으로 만든 네모 받침돌 위에 비신(碑身)과 이수(螭首)를 한 덩어리의 백일석(白一石)에 새겨 얹었다. 비의 형식은 부친의 수죽정공신도비(水竹鄭公神道碑)를 따랐는데 조각 양식에서 생동감이 좀 덜하다.

비문은 당시 영의정이던 맏아들 정태화(鄭太和)의 부탁으로 이경석(李景奭)이 짓고 썼는데, 글씨는 석봉체(石峯體)를 바탕으로 하였다. “知敦寧府事鄭公神道碑銘(지돈녕부사정공신도비명)”이란 두전(頭篆)은 이경석의 조카 이정영(李正英)이 썼다. 비문에는 정난종(鄭蘭宗)·광필(光弼)·복겸(福謙)·유길(惟吉)·창연(昌衍) 등 5대 조상들의 약력에 이어, 광해군·인조 때에 봉사했던 그의 행력과 인품에 대해 적혀 있다. 끝 부분에는 부인과 자손의 약력과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청음집(淸陰集)』
『백강집(白江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서울금석문대관』(서울특별시, 1987)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