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원병 가옥 ( )

목차
관련 정보
군산 채원병 가옥 중 안채 정측면
군산 채원병 가옥 중 안채 정측면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一자형의 안채와 ㄷ자형의 사랑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一자형의 안채와 ㄷ자형의 사랑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986년 전라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봉산(高峰山)의 지맥(支脈)을 뒤로 한 경사지를 축대를 쌓아 바르게 조성하고 안채와 사랑채를 나란히 병좌임향(丙坐壬向)해 배치했으며 안채 뒤쪽에는 사당이 있다. 이곳은 지세가 오공혈(蜈蚣穴: 지네 굴)로서 명당이기 때문에 풍수적 형국(形局)에 따라 실생활에 불리하지만 북향으로 집을 배치하였다.

안채의 건축 년대는 1860년이다.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집으로 60㎝정도 높이의 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전면에는 두리기둥[圓柱]을, 나머지는 사각기둥을 사용하였다. 칸살은 남부지방 민가와 같이 왼쪽부터 부엌·안방·대청·건넌방 순으로 배열했고, 마루 또는 툇마루를 통해 방들을 연결하였다.

안방 뒤에는 칸을 막아 골방을 만들었는데 이곳을 통해 부엌 상부 다락에 오를 수 있다. 넓은 다락 공간은 이 집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대청 상부를 제외하고 부엌과 안방, 건넌방 상부 모두에 다락을 만들었다.

사랑채는 ㄷ자형의 건물로서 안채를 감싸듯 세워졌는데 중앙에 대문이 있고 우측 끝에는 누마루가 돌출해 있다. 방들의 구성과 각 방의 사용을 볼 때 대문 서쪽의 방들은 주로 안채에 딸린 공간이며, 동쪽의 방들이 실질적인 사랑채 공간이다. 누마루는 전면과 오른쪽에 머름대(모양을 내느라고 미닫이 문지방 아래나 벽 아랫중방에 내는 널대)를 놓고 분합문을 달았으나 한 면은 난간만 설치하고 그대로 개방하였다.

전면에 자연석과 소나무 등으로 조경을 해 운치가 있다. 특히 안마당에 내외 벽 대신 동백과 영산홍 등을 심은 차면(遮面) 화단은 계획적인 조경 수법을 볼 수 있다. 지금은 넓게 빈터로 남아 있는 사랑채 앞마당에는 바깥 사랑채를 비롯해 놀이청, 곳간채, 행랑채, 대문채 등 많은 부속 채들이 있었다.

참고문헌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홍승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