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림리 석불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부안 청림리 석불좌상
부안 청림리 석불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에서 옮겨온 고려시대의 불상.
이칭
이칭
부안청림리석불좌상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청림리석불좌상(靑林里石佛坐像)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재(1986년 09월 08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감교리)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에서 옮겨온 고려시대의 불상.
내용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개암사에 소장되어 있다. 1986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파손되었던 목과 코를 시멘트로 복원하였지만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각이 정교한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이다. 독립된 대형의 석불로서는 매우 드문 귀중한 유례이다.

머리에 두건(頭巾)을 쓰고 양손을 복부에 놓고 엄지를 곧게 펴서 맞대어 보주(寶珠), 곧 여의주(如意珠)를 감싸 쥔 전형적인 두건 지장보살상이다.

두건은 이마에서 관자놀이까지 두른 뒤 끈으로 묶지 않고 곧장 귀 뒤로 하여 어깨까지 늘어뜨렸다. 두건 자락은 왼쪽 어깨에는 곧게 표현된 반면 오른쪽 어깨에서는 한 번 접혀져 물결 형태로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목 뒤에서는 단정한 타원형을 그린다.

얼굴은 통통하게 살이 올라 복스런 모습이다. 그리고 두 눈을 지긋이 감고 작은 입을 살짝 다물어 동안(童顔)을 연상시킨다. 둥근 얼굴 모습과 어울려 신체 역시 예각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둥근 맛이 강하다.

몸의 굴곡이 완연한 신체 조형과 적절한 신체 비례는 자칫 위축되기 쉬운 집보주상의 조형적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사실적으로 조각한 오른발을 드러내며 가부좌한 너비가 넓은 하체와 몸 중앙에서 모은 수인과 조화롭게 구성된 양팔의 모델링(modelling)이 그러하다.

가사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이며 수직으로 넓게 트인 가슴 사이로 직선적으로 표현된 내의(內衣)의 끝 자락과 그 아래로 나비매듭으로 군의(裙衣)를 묶은 허리띠 매듭이 단정하게 조각되었다.

상의 뒷면에는 양어깨 뒤로 넘긴 가사 자락이 조각되어 있다. 대좌는 상 · 중 · 하대로 구성된 삼단 대좌이다. 상대와 하대석은 볼륨이 강한 복판(複瓣 : 겹잎) 연꽃이 조각된 팔각 연화좌이지만 중대석은 고려시대의 부도나 석등 등에서 흔히 나타나는 고복형(鼓腹形)인 점이 흥미롭다.

잘 알려져 있듯이, 두건 지장은 서역의 투르판(Turfan)과 중국의 변경 지역(敦煌 등)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견되는 특이한 지장보살의 도상(圖像)이다.

그러나 회화가 아닌 조각으로서의 두건 지장보살상이 특히 전북 지역에 많이 유존하고 있는 사실(禪雲寺의 금동지장보살상 2구 및 약사전의 석조지장보살상 등)은 이 지역 특유의 신앙 형태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석불이 있었던 곳은 신청림사(新靑林寺) 터로 알려진 곳이다. 주변에 기와 편이 흩어져 있으며 여기서 출토된 고려시대 동종 1구가 현재 내소사(來蘇寺)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문헌

『전북문화재대관(全北文化財大觀) -도지정편(道指定篇)-』(전라북도, 1997)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