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5.5m.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절은 오래 전에 없어져 그 이름은 알 수 없다. 기단부(基壇部)가 1층으로 되어 있으며, 지대석(地臺石)에 낮은 중대석(中臺石)이 있고 4매로 짠 갑석(甲石)을 얹었다.
1층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되어 있는데, 위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모각(模刻)되어 있고, 2단의 옥개석(屋蓋石) 받침이 별석으로 조립되어 있다. 1층옥개석은 4매의 판석으로 되어 있으며, 2층탑신은 2단의 탑신받침이 있고 탑신은 2개의 넓은 판석과 2개의 좁은 판석을 맞춰 구성하고 있으며, 1단의 옥개석 받침돌을 받친 위에 4매로 짠 2층옥개석이 있다.
3층탑신은 2매의 탑신받침에 4매로 조립된 탑신이 있다. 이 석탑은 옥개석이 넓어 상당히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그 형식은 옥개석의 층급 받침이 별석으로 처리되고 기단의 1층기단으로 된 점 등이 부여의 정림사지오층석탑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갑석의 낙수면(落水面)이 완만하고 반전이 미미한 점에서 예술미에 있어서 오층석탑보다 뒤지나 그 양식에 있어서는 백제탑의 정형을 계승한 대표적인 석탑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