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규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어사중승, 첨의시랑찬성사 판전리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광정(匡定)
이칭
문계(文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16년(충숙왕 3)
본관
남양(南陽)
주요 관직
첨의시랑찬성사 판전리사사(僉議侍?贊成事判前理司事
정의
고려 후기에, 어사중승, 첨의시랑찬성사 판전리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초명은 홍문계(洪文系). 인종 때 추성보국공신(推誠報國功臣)에 봉해진 홍관(洪灌)의 5세손이다.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홍진(洪縉)의 아들이며, 부인은 광주김씨(光州金氏)로 참지정사(參知政事) 김연(金練)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원종 때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었으며, 매부인 임유무(林惟茂)의 집정기에는 송송례(宋松禮)와 함께 자문 역할을 하였다. 1270년(원종 11) 원나라에 있던 왕이 개경 환도를 명하고 귀환할 때 임유무가 왕을 배척하고 항전 태세를 취하였다. 그러자 왕의 밀령을 받아 송송례 등과 함께 삼별초(三別抄)를 동원해 권신 임유무를 죽였다.

그 뒤 세자(충렬왕)를 호종해 원의 대도(大都)에 갔는데, 원 세조(世祖)의 명으로 고려 1품직에 올랐으며, 원의 좌부승선(左副丞宣)의 직을 받았다. 귀국해서는 국정의 문란을 한탄하며 사직하였다. 다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으나 또 사퇴했는데, 이 때 나이가 40세도 안 되었다.

그 뒤 충렬왕과 공주가 양가(良家)의 여자를 징발해 원나라에 보낼 때, 딸이 징발되자 이를 기피한 죄로 해도에 귀양갔다. 결국 두 딸이 모두 원나라에 뽑혀가고 가산까지 적몰되었다. 중찬(中贊) 김방경(金方慶)과 홍규의 종형 홍자번(洪子蕃) 등이 홍규가 이전에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점을 들어 면죄를 간청하였다.

가산이 반환되고 곧 풀려나, 이듬해 첨의시랑찬성사 판전리사사(僉議侍郎贊成事判前理司事)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 뒤 중찬을 더하고 이어서 판삼사사 수사도 영경령궁사(判三司事守司徒領景靈宮事)가 되었다.

충선왕이 즉위하자 익성군(益城君)에 봉해지고, 또 첨의정승 익성군 지익성부사(僉議政丞益城君知益城府事)에 올랐다. 1316년 추성진력안정공신 남양부원군 상의 첨의도감사(推誠陳力安定功臣南陽府院君商議僉議都監事)에 이르러 별세하였다. 시호는 광정(匡定)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박천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