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공룡능선 (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문화재
강원도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이루는 설악산에 있는 능선.
이칭
이칭
공룡릉, 진설악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명승(2013년 03월 11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 속초시 설악동 산 12-21 / 산 41
목차
정의
강원도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를 이루는 설악산에 있는 능선.
개설

2013년 3월 11일에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공룡능선은 백두대간에 자리한 설악산 정상의 북쪽에 있는 마등령에서 시작하여 남쪽 신선암까지 이르는 능선을 가리킨다. 이 능선은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을 나누는 분기점이 되기도 한다.

인제군 백담사와 속초시 설악동에서 오를 수 있는 공룡능선은 내설악과 외설악을 가르는 중심 능선이다. 이 능선에서 내설악의 가야동계곡, 용아장성은 물론 외설악의 천불동계곡과 동해까지 조망할 수 있다. 지명은 강원도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지점에 연속되어 있는 암석 봉우리들이 마치 공룡의 등같이 생긴 데서 유래하였다. 공룡릉(恐龍稜)이라고도 불린다.

자연환경

공룡능선이 자리하고 있는 설악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돌산이다. 기반암인 화강암은 물의 침식에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침식작용을 활발하게 받았다. 따라서 설악산은 폭포와 암봉 등 아름다운 산악경관을 잘 보여주는 곳으로 우리나라 제1의 암석지형들이 자태를 뽐낸다.

능선을 이루는 암괴는 화학적 풍화작용이 진행되고 있으며, 주1와 관련된 절리구조도 발견된다. 다른 산지와는 달리 미립물질이 대부분 씻겨나가 암괴만 남은 모습이 특징적이다. 또한 능선이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평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천화대와 칠형제봉이 천불동 방향으로 뻗으면서 설악골 · 잦은 바위골 등의 깊은 계류를 만들어 놓았다.

동해에서 유입된 많은 양의 수증기는 공룡능선에서 찬 공기를 만나 구름이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구름은 구름바다인 운해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상 변화가 심하며 변화무쌍한 운해는 공룡능선의 암봉들과 어우러져 천혜의 비경을 보여준다.

현황

설악산 공룡능선은 설악산의 대표적인 능선으로 구름이나 안개가 자주 발생해 그 경치를 제대로 볼 수 있을 때가 많지 않다. 험준한 봉우리가 줄지어 솟아 있는 공룡능선은 전국 국립공원 대표 경관 100경 가운데 경관이 가장 빼어난 ‘국립공원 제1경’으로 꼽힐 정도로 아름다운 능선이다.

설악산국립공원 내에서 공룡능선을 설악 중 ‘진설악’이라 일컫기도 한다. 능선을 오르면서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이며, 단풍에 물든 가을의 모습은 절경을 이룬다. 마등령의 남쪽에 있는 나한봉을 왼쪽으로 돌아 오르면 본격적으로 봉우리들의 드나듦이 시작되며, 한 사람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좁은 구간도 있다. 능선의 동쪽에 있는 신선대에서 공룡능선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참고문헌

「기반암별 산지와 곡지의 지형 기복 특성과 유형」(이광률, 『한국지형학회지』21-4, 2014)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 계곡에서 발생된 낙석 거동분석」(조용성·김유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26-5, 2010)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 아고산대의 암괴원의 기원과 연대에 관한 고찰」(박경, 『대한지리학회지』38-6, 2003)
문화재청(www.cha.go.kr)
설악산국립공원(seorak.knps.or.kr)
주석
주1

지하수면 밑에서 이루어지는 풍화 작용. 표층 풍화와 달리 물리적 풍화가 거의 없고 화학적 풍화도 극히 완만하게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집필자
손승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