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이상국집 ()

동국이상국집
동국이상국집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신, 이규보의 시 · 전(傳) · 설 ·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요약

『동국이상국집』은 고려후기 문신 이규보의 시·전·설·서 등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총 53권 13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편의 민족서사시 「동명왕편」과 가전체 문학작품인 「국선생전」·「청강사자현부전」 등 뛰어난 시와 문학작품 및 시론이 수록된 귀중한 문헌이다. 『구삼국사』라는 우리나라 역사책이 존재했다는 사실, 『팔만대장경』의 판각 연혁, 금속활자의 사용에 관한 사실 등을 담고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도 뛰어나다. 우리나라에서는 멸실되어 없어진 것을 일본에서 입수하여 다시 간행했다는 이익의 기록으로 볼 때,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영조시대의 복각본으로 추정된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이규보의 시 · 전(傳) · 설 ·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53권 13책. 목판본. 아들 함(涵)이 1241년(고종 28) 8월에 전집(全集) 41권을, 그 해 12월에 후집(後集) 12권을 편집, 간행하였고, 1251년에 칙명으로 손자 익배(益培)분사대장도감(分司大藏都監)에서 교정, 증보하여 개간하였다. 조선시대에도 몇 차례 간행된 듯한데 실본(失本)된 것을 일본에서 입수하여 다시 간행하였다는 이익(李瀷)의 말로 보아, 오늘날 완전히 전해지는 판본은 영조시대의 복각본으로 추정되고 있다.

내용

전집 41권에는 책머리에 이수(李需)의 서문과 연보가 실려 있고, 권1에는 외부(畏賦) 등 6편의 부와 시가 있으며, 권2∼18에 시, 권19에 잡저 · 운어(韻語) · 어록, 권20에 전(傳), 권21에 설 · 서(序), 권22에 잡문, 권23 · 24에 기, 권25에 기 · 방문(牓文) · 잡저, 권26 · 27에 서(書), 권28에 서(書) · 장(狀) · 표(表), 권29에 표, 권30에 표 · 전(箋) · 장, 권31에 표, 권32에 장, 권33에 교서 · 비답(批答) · 조서, 권34에 교서 · 마제(麻制) · 관고(官誥), 권35에 비명, 권36에 뇌서(誄書), 권37에 애사 · 제문, 권38에 도량재초소제문(道場齋醮疏祭文), 권39에 불도소(佛道疏) · 초소(醮疏), 권40에 석도소제축(釋道疏祭祝), 권41에 석도소(釋道疏)의 차례로 되어 있다.

후집 12권에는 이함의 후집서문에 이어, 권1∼10에 시, 권11에 찬 · 서(序) · 기 · 잡의(雜議) · 문답, 권12에 서(書) · 표 · 잡저 · 묘지, 그리고 책 끝에 정지(鄭芝)가 왕명을 받들어 지은 이규보의 뇌서와 이수가 쓴 묘지명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이익배의 발문이 실려 있다.

시 중에는 141운 282구의 「동명왕편」을 비롯하여 300운에 이르는 「차운오동각세문정고원제학사(次韻吳東閣世文呈誥院諸學士)」와 43수로 된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100운의 「정장시랑자목(呈張侍郎自牧)」 등 100운이 넘는 시만도 상당수가 있다. 특히, 전집 권3에 수록된 「동명왕편」은 장편의 민족서사시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작품이다. 해모수(解慕漱)와 유화(柳花)가 만나는 과정으로부터 주몽(朱蒙)의 탄생에 얽힌 신비스러운 이야기와 시련을 이기고 고구려를 건설하기까지의 모습과 왕자 유리의 왕위계승, 그리고 왕위에 오르는 임금들이 너그럽고 어진 마음과 예의로 나라를 다스릴 것을 희망하는 말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서문을 통하여 『구삼국사(舊三國史)』라는 우리나라 사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해주었고, 시 속의 많은 주1에서 여러가지 역사적 사실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노무편(老巫篇)」(전집 권1)은 민중을 미혹시키는 무당을 경계하는 뜻에서 지은 시로서 무당의 의식(儀式)을 서술하였기 때문에 무속연구의 자료로서 가치가 있으며, 「개원천보영사시」(전집 권4)는 안녹산의 난으로 사직을 거의 망칠뻔했던 당나라 현종의 유적 등을 읊은 것이다.

「답전이지논문서(答全履之論文書)」(전집 권22)에는 옛 시인을 모방, 답습하지 말고 새롭게 표현할 것을 역설한 시론(詩論)이 보이고, 「논시중미지약언(論詩中微旨略言)」(전집 권22)에는 주의론(主意論)을 비롯한 시에 대한 그의 많은 견해가 피력되어 있다. 작문과정에서 시인이 주의해야 할 것을 강조하기 위한 그의 구불의체론(九不宜體論)이 특히 돋보인다. 「당서불립최치원열전의(唐書不立崔致遠列傳議)」(전집 권22)에서는 최치원의 전기를 책에 수록하지 않은 당나라 사람들의 편협성을 개탄하고 있어, 「동명왕편」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의 민족에 대한 긍지와 주체사상의 일면이 보인다.

전집 권20에 수록된 「국선생전(麴先生傳)」「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은 가전체문학으로, 「국선생전」은 술을 의인화하여 술과 인간과의 미묘한 관계를 재미있는 이야기로 엮은 작품이고, 「청강사자현부전」은 거북을 의인화하여 작아서 알기 어려운 것을 미리 살펴 방비하는 데에는 성인도 간혹 실수가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하여 매사에 삼갈 것을 말하고 있다. 이들 가전체문학작품은 우리나라 소설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볼 때, 설화와 소설을 잇는 교량적 구실을 담당하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전집 권20)은 이규보가 젊었을 때에 천마산에 은거하면서 주2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본떠 시와 술을 벗하여 안빈낙도하며 세속에 얽매이지 않는 자신을 그린 자서전적 전기이다. 「칠현설(七賢說)」(전집 권21)은 무신의 집권으로 속세를 등지고 스스로 맑고 고고함을 자랑하던 강좌칠현(江左七賢)을 조롱하는 내용으로 된 것인데, 끝내 죽림에의 유혹을 뿌리치고 시 한수에 벼슬 하나를 얻는 문재(文才)로, 나이 칠십으로 벼슬에서 물러날 때까지 벼슬길을 헤쳐나간 그의 인생관을 엿보게 해주는 글이다.

이 책은 이규보의 뛰어난 시와 문 등의 문학작품이 수록된 귀중한 문헌일 뿐만 아니라 사료로서도 귀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대장경각기고문(大藏經刻祈告文)」을 통해 『팔만대장경』 판각의 연혁을 알게 되고, 「신인상정예문발미(新印詳定禮文跋尾)」에 의해 금속활자의 사용에 관한 사실을 알게 된 것 등이 그것이다. 「논시중미지약언」 · 「당서불립최치원열전의」 · 「백운거사전」 등 일부 내용들은 『백운소설(白雲小說)』에도 비슷한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다.

1913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조선고서대계(朝鮮古書大系)』 속22 · 23집에 활자본으로 상 · 하 2책을 간행하였고, 1958년 동국문화사에서 규장각도서본을 영인, 출간하였으며, 1973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고려명현집』 1권에 이승휴(李承休)의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과 함께 영인하여 합본으로 간행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에서 다시 대동문화연구원의 영인본을 대본으로 하여 원문을 영인하여 싣고, 이를 국역하여 1979년부터 3년에 걸쳐 7책으로 간행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의 영인본과 민족문화추진회의 국역본에는 『백운소설』이 권말에 수록되었다.

참고문헌

「동국이상국집」(이석래,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69)
『고려명현집』 1(이우성,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73)
『이규보연구』(박성규, 계명대학교출판부, 1982)
『이규보문학연구』(김진영, 집문당, 1984)
『이규보시문학연구』(김경수, 아세아문화사, 1986)
「동국이상국집해제」(김동욱, 『국역동국이상국집』, 민족문화추진회, 1980)
주석
주1

본문 사이에 두 줄로 나누어 작은 글씨로 주를 닮. 또는 그렇게 다는 주.    우리말샘

주2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