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 ()

목차
관련 정보
위원 용연동 유적에서 농기구와 함께 출토된 명도전
위원 용연동 유적에서 농기구와 함께 출토된 명도전
선사문화
유물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중국 전국시대의 화폐.
이칭
이칭
언도(匽刀), 이도(易刀)
정의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중국 전국시대의 화폐.
개설

‘언도(匽刀)’·‘이도(易刀)’ 등으로도 불린다. 손칼〔刀子〕으로부터 나오게 된 손칼모양 동제 화폐의 일종으로, 표면에 ‘명(明)’자 비슷한 것이 주출되어 있어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전국시대 초엽에 도전(刀錢)의 하나인 첨수도(尖首刀: 도전의 칼날 끝부분이 뾰족한 것)에서 전화된 것으로 대부분이 연(燕)에서 쓰였고 일부는 제(齊)와 조(趙)에서 쓰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퇴장유적(退藏遺蹟)에서 주로 출토되며 일부 주거지와 고분에서 출토되기도 한다.

크기는 일반적으로 길이 12.4∼13.5㎝, 너비 1.5∼1.9㎝이고, 무게는 12∼19g이다. 손잡이끝에는 고리〔環〕를 가지고 있고, 손잡이에는 3조의 직선문양이 길이로 나 있다. 재료는 모두 청동이며, 거푸집〔鎔范〕에 의해 주조된다. 통상 발견되는 도전의 90% 정도로 그 수가 많으며, 수백·수천 매의 묶음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내용

명도전은 형식과 ‘명(明)’자의 형태에 의해 3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종류는 칼등 쪽이 부드럽게 만곡되고, 명자가 ‘{{#039}}’으로 표시되어 있다. 뒷면의 문자는 초기 것이 숫자·간지(干支) 등으로, 후기 것이 ‘좌(左)’·‘우(右)’·‘{{#040}}’ 등으로 되어 있다.

두 번째 종류는 첫 번째와 형식은 매우 닮았으나 크기에서 차이가 나고 ‘明’자의 형태가 ‘{{#041}}’으로 되어 있다. 뒷면에는 ‘제화(齊化)’, ‘제화이십(齊化二十)’, ‘제화공금(齊化共金)’, ‘점백□(簟佰□)’, ‘안양백□(安陽佰□)’ 등 제나라와 관련된 지명과 ‘성백(成白)’ 등 조나라 지명을 쓴 것, 부호 같은 글자를 하나 쓴 것 등이 보인다. 이 종류는 발견 예가 극히 적다.

세 번째 종류는 칼등쪽으로 칼몸과 손잡이의 접속점이 ‘〈’형으로 꺾여 있으며, ‘명(明)’자는 ‘{{#038}}’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질이 위의 두 종류에 비해서 아주 나쁘다. 뒷면의 글자는 첫 번째 종류와 거의 비슷하다. 수량은 이 종류가 가장 많다.

명도전은 첨수도와 마찬가지로 연나라에서 통용되던 화폐로 연나라에서 직접 주조, 발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대는 대체로 첫 번째 종류가 전국시대 초기, 두 번째 종류는 연나라가 제나라를 점령했을 때, 세 번째 종류는 전국시대 후기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명도전이 출토된 유적은 대체로 청천강을 중심으로 이북에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포를 연의 동방진출과 연관해서 해석하려는 견해도 있다. 즉, 명도전이 서기전 3세기 무렵으로 편년될 경우, 연의 영향권내에서 이 지역에 거주하던 주민에 의해, 서기전 2세기 무렵이면 진한(秦漢)교체기나 위만조선 단계에 거주하던 주민에 의해 매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주요 유적으로는 평안북도 위원군 용연동 및 영변군 세죽리 등의 퇴장유적과 시중군 노남리의 초기철기시대 주거지유적, 평양시 정백동의 3호 목곽분유적 등을 들 수 있다. 정백동 3호분에서는 명도전이 오수전(五銖錢)과 함께 출토되어 주목된다.

의의와 평가

명도전은 전국시대 말기 중국 북변의 문화가 한반도로 파급된 것을 나타내는 자료로서 유적의 연대 추정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아울러 고조선과 연 사이의 활발했던 문화교류를 잘 보여준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사』1(국사편찬위원회, 1973)
「기원전 3∼2세기 요동지역의 고조선문화와 명도전유적」(박선미,『선사와 고대』14, 2000)
「刀錢考補正」(關野雄,『東洋文化硏究所紀要』40, 1966)
「刀錢考」(關野雄,『東洋文化硏究所紀要』35, 1965)
집필자
김진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