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경종요 ()

불교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강승개(Saṃghavarman)가 번역한 『무량수경』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 불교해설서.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강승개(Saṃghavarman)가 번역한 『무량수경』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해설서. 불교해설서.
개설

1권. 『고려대장경』·『신수대장경』·『속장경』 등에 수록되어 있다. 원효(617 ~ 686)가 이 경에 대하여 종요(宗要)를 쓰기 전에 중국에서는 담란(曇鸞)·영유(靈裕)·혜원(慧遠)·길장(吉藏) 등이 주소(註疏)를 낸 바 있다.

원효의 이 종요는 혜원·길장의 주소와 신라의 후학 경흥(憬興)의 것과 더불어 『무량수경』의 4대 주석서로 존중되어 왔다. 원효는 화엄(華嚴)을 존중하는 입장에 서 있었으므로 『무량수경』에 대하여 해석할 때도 그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음으로써 매우 독보적인 내용을 그 종요에 담고 있다.

내용

이 책은 대의(大意)와 경지종치(經之宗致), 약인분별(約人分別), 취문해석(就文解釋)의 네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취문해석은 구분만을 해놓았을 뿐 구체적인 해설은 없다. 따라서 본문은 세 부분에 국한된다.

<대의>에서는 다른 모든 원효의 저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원효사상의 핵심이 담겨 있다. 요컨대, 정토(淨土)와 예토(穢土:우리가 사는 속세)는 ‘본래일심(本來一心)’에 있다고 말한다.

“무릇 중생의 심성(心性)은 융통무애하니, 허공과 같이 넓고, 거해(巨海)와 같이 충만하다. 허공과 같으므로 그 체(體)는 언제나 평등하며, 어떤 특별한 상(相)이 있을 수 없다. 어찌 정토와 예토가 있겠는가? 또 거해와 같으므로 그 성(性)이 윤활하여 연(緣)을 따라 순응하되 거역함이 없다. 어찌 동(動)·정(靜)의 차별이 없겠는가? 그러므로 번뇌망상의 바람을 타면 오탁악세(五濁惡世)에 떨어져 유전하며, 고통의 물결 속에 부침(浮沈)하면서 오래오래 흘러 내려가고, 혹 선근(善根)을 계승하여 탁류를 끊으면 다시 돌아오지 않고 피안(彼岸)에 머물러 고요하기만 하다. 만약, 이와 같이 유전하며 움직이고, 또 이와 같이 고요하기만 하다면 이는 다 큰 꿈일 뿐이다. 정말 깨달은 입장에서 말하자면 여기도 없고 저기도 없는 것이다. 예토정국(穢土淨國)이 본래 일심(一心)이요, 생사(生死)와 열반(涅槃)이 결국 두 대립되는 극이 아니다.”

원효는 이와 같이 말하면서 석가모니가 이 사바세계에 나타나 오악(五惡)을 경계한 것이나, 아미타불이 저 극락정토를 다스리면서 삼배(三輩:세 가지 부류의 사람들)를 이끌어 그곳에 태어나게 하시는 일이 다 중생제도의 방편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 『무량수경』을 “보살장교의 격언이요 불토인과의 진전이다(菩薩藏敎之格言 佛土因果之眞典也).”라고 규정하였는데, 이는 원효의 『무량수경』에 대한 견해를 가장 단적으로 표현한 구절이다. 또 원효의 극락관은 <대의> 중 다음 구절에도 잘 나타나 있어 주목을 요한다.

“법향(法響:법의 울림 소리)을 듣고는 무상(無相)에 들고, 불광(佛光)을 보고는 무생(無生)을 깨닫는다. 무생을 깨달음으로 태어나지 못하는 바가 없으며, 무상에 듦으로 상(相)이 나타나지 못하는 바가 없다. 지극히 청정하고 지극히 안락하니 생각으로 헤아려 볼 수 있는 바가 아니며, 끝도 없고 한계도 없으니 어찌 언설(言說)로 능히 설명할 수가 있겠는가?”

이 말은 원효가 결코 서방 극락정토를 어떤 일정한 공간이나 형상으로 국한시켜 보고 있지 않음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경지종치에서 원효는 『무량수경』의 핵심적 교설은 정토의 인과를 밝히는 데 있고, 그 의도하는 바가 섭물왕생(攝物往生:어떻게 왕생하게 하느냐 하는 문제의 해명)에 있다고 말한다. ‘정토의 인과’에서는 먼저 과(果)로서의 정토에는 어떠한 덕(德)들이 있는가를 4개 부문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즉, 첫째 정부정문(淨不淨門)에서는 ① 금강삼매(金剛三昧)에 들지 못한 보살이 주(住)하는 곳은 과보토(果報土)이므로 그곳은 정토가 못 되고, 오직 불(佛)이 거(居)하는 곳만이 정토라 하며, ② 칠지(七地) 이하 보살이 머무르는 곳은 아직 정토라 할 수 없고, 팔지(八地) 이상 보살이 주하는 곳이라야 일향(一向)으로 삼계(三界)의 일을 벗어났으므로 정토라 한다.

③ 범부(凡夫)·이승(二乘)이 잡거(雜居)하는 곳은 청정법계(淸淨法界)라 할 수 없고, 오직 대지보살(大地菩薩)이 들어가 사는 곳만이 청정법계라 하였으며, ④ 삼취중생(三聚衆生)이 고생하며 사는 곳은 정토가 아니라 예토이며, 오직 정정취(正定聚)가 거하는 곳만이 정토라 하였다.

둘째, 색무색문(色無色門), 즉 정토에 색이 있느냐 무색이냐 하는 문제에서는 앞의 인·과 등 네 가지 경우 중 첫째 경우에만 자수용토(自受用土)요, 나머지 세 경우에는 다 타수용토(他受用土)이므로 이 타수용토는 물론 색이 있지만, 앞의 자수용토에 대해서는 세 가지 설이 있다고 말한다. 그 세 가지 설이란 다음과 같다.

①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에서와 『기신론(起信論)』에서는 이 자수용토 또는 자수용신(自受用身)에는 색상(色相)이 있을 수 없는 법성정토(法性淨土)라 하고, ② 『살차니건자경(薩遮尼乾子經)』이나 『화엄경』, 그리고 『섭대승론(攝大乘論)』 등에서는 이 자수용신에 장애가 없는 미묘한 색이 있고 육진(六塵)의 빼어난 경계가 다 갖추어져 있다.

③ 보불신토(報佛身土)인 이 자수용신에는 정상귀원(正相歸源:진정한 실상인 근원에 돌아감)인 ①의 경우와, 종성성덕(從性成德:진성에서부터 공덕이 이루어짐)인 ②의 경우가 있어 위의 두 가지 설은 다 틀리지 않는 주장이라고 하고 있다. 이 가운데 ③은 원효 자신의 견해로 보인다.

셋째, 공불공문(共不共門), 즉 정토가 공통적인 과[共果]냐, 공통적이 아닌 과[不共果]냐 하는 문제에서는 정토에 내토(內土)와 외토(外土)의 두 가지가 있는데, 내토 즉 정보토(正報土)는 공통적이 아닌 과이지만, 외토 즉 의보토(依報土)는 공통적인 과라고 하며, 『해심밀경(解深密經)』·『유식론(唯識論)』·『본업경(本業經)』·『유가론(瑜伽論)』·『섭대승론』 등의 말을 인용, 설명한다.

넷째, 누무루문(漏無漏門)에서는 『유가론』의 유루·무루설을 인용, 네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하고, 이를 적용하여 제불(諸佛)의 정토와 보살의 정토의 누·무루 문제를 서술하고 있다. 그 네 가지 경우란 ① 일향유루(一向有漏)인 경우, ② 일향무루(一向無漏)인 경우, ③ 유루이기도 하고 무루이기도 한 경우, ④ 유루도 아니고 무루도 아닌 경우이다.

정토의 인행(因行)에 대하여는 성변인(成辨因)과 왕생인(往生因)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성변인이란 ‘자신의 힘으로 이룩하는 인[自業因力所成辨]’을 말하며, 왕생인이란 여래의 본원력(本願力)에 의하여 감화를 입어 수용(受用)하는 것으로, 비단 정보(正報:자기의 몸)의 장업만이 아니라 의보정토(依報淨土:객관적인 주위의 정토)를 갖추게끔 감응을 입는 것을 말한다.

성변인은 ① 본래의 무루한 종자로서의 우리 마음과, ② 무분별지(無分別智)·무분별후득지(無分別後得智) 때문에 생긴 선근(善根)이 출출세선법(出出世善法)이 되어 정토를 이루는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왕생인은 『관무량수경』에서 설하는 16관과 『왕생론』에도 설하는 5문행(五門行), 이 경에서 말하는 삼배인(三輩因)이 그것이라 한다.

원효는 상·중·하 삼배가 짓는 인(因)에 대하여 언급하고, 그 인은 요컨대 원(願)과 행(行)의 화합(和合)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인을 정인(正因)과 조인(助因)으로 나누면서 무상보리심(無上菩提心)을 말하는 것이 곧 정인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무상보리심을 말하는 데서는 수사발심(隨事發心)과 순리발심(順理發心)의 두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왕생인의 조인(助因)으로서 언급한 하배(下輩)의 십념(十念)에 대해서도 원효는 독창적인 주장을 하고 있다. 그는 『무량수경』의 십념에는 『관무량수경』의 십념과는 달리 숨은 뜻[隱密義]과 드러난 뜻[顯了義]의 두 가지가 있다고 하면서, 숨은 뜻을 『미륵보살발문경(彌勒菩薩發問經)』의 설명을 인용, 다시금 보살행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약인분별은 어떤 사람이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가를 분별하는 부분이다. 삼취중생(三聚衆生)이란 정정취(正定聚)·부정취(不定聚)·사정취(邪定聚) 세 부류의 인간을 뜻하는 말이지만, 원효는 여기서 『무량수경』의 “그 나라에 가서 태어나는 중생은 모두 정정취에 주하는 사람이다. 왜냐하면, 그 불토에는 사정취나 부정취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한 구절에 의거, 『보성론(寶性論)』을 인용하여 정정취가 어떤 사람인가를 설명한다.

그는 또 『유가론(瑜伽論)』에 의거하여 정정취에는 본성정정취(本性正定聚)와 습성정정취(習性正定聚)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무량수경』에 “만약에 중생들 중 의혹심을 가지고 공덕을 닦으며 그 나라에 태어나기를 원하는 사람, 불지(佛智)·불사의지(不思議智)·불가칭지(不可稱智)·대승광지(大乘廣智)·무등무륜최상승지(無等無倫最上勝智)를 알지 못하고 의심하고 믿지 않으면서도, 죄와 복을 믿고 선본(善本)을 닦아 그 나라에 태어나기를 원하는 자들은 그 나라에 태어나지만, 500년 동안 삼보를 보거나 듣지 못하고 벽지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라고 한 것과 관련하여, 불사의지(즉, 成所作智)·불가칭지(즉, 妙觀察智)·대승광지(즉, 平等性智)·무등무륜최상승지(즉, 大圓鏡智)의 달성이야말로 정토 구현의 요체(要諦)임을 강조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원효는 이러한 4지(智)를 모르거나 의심하는 중생을 4의혹 중생이라고 하면서 4지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가하였다. 원효에 의하면 일심의 근원이 무량수불의 정토이다. 이 종요는 이러한 사실을 말해 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저술이다.

참고문헌

「신라시대정토왕생사상연구」(안계현,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5)
집필자
이기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