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택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정언, 필선,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기(聖基)
독송정(獨松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7년(숙종 13)
사망 연도
1756년(영조 32)
본관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주요 관직
정언|필선|장령
정의
조선 후기에, 정언, 필선, 장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기(聖基). 호는 독송정(獨松亭). 할아버지는 민처중(閔處重)이고, 아버지는 민진유(閔鎭有)이며, 어머니는 이오(李梧)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고, 1727년(영조 3)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36년 정언(正言)이 되고, 이듬해 당시 사간(司諫)이던 조태언(趙泰彦)을 당습지인(黨習之人)으로 논척(論斥)하였다.

당시 탕평책으로 당색을 드러내기는 힘들었으나 노론계임을 내세워 1740년 지평(持平)으로 삼사의 합계(合啓)를 올려 죽은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을 신원하는 데 힘썼다. 이어서 정언·필선(弼善)·장령(掌令)을 거쳤고, 1741년 사과(司果)로 과거응시자 심계연(沈繼衍)이 역적 심성연(沈成衍)의 동생임을 밝혀, 원방(原榜)을 취소시키게 하였다. 장령이 되어서는 남유용(南有容)의 찬배를 막으려고 힘썼으나 일을 성사시키지 못하였다.

1746년 집의(執義)로 있을 때는 언로를 넓게 개방할 것을 건의하였다. 그 뒤 사간·보덕(輔德)·집의 등을 역임하였으며 노년에는 첨지판결사(僉知判決事)에 제수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박정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