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망경보살계본사기 ()

불교
문헌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범망경』 하권에 수록된 보살계본을 본문을 따라가며 그 의미를 풀이한 주석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신라시대
저자
원효(元曉)
권책수
2권 1책 중 1권만 현존
내용 요약

『범망경보살계본사기』는 『범망경』 하권에서 보살계본으로 독립된 “나는 이제 노사나라네”라는 게송 부분부터 끝까지를 주석한 책이다. 다만 현재 상·하 2권 중 상권만 남아 있기 때문에 본서를 통해서는 보살계본의 십중계(十重戒)와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 중 전자에 대한 설명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정의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범망경』 하권에 수록된 보살계본을 본문을 따라가며 그 의미를 풀이한 주석서.
서지사항

『범망경보살계본사기』는 상하 2권 1책으로 이루어졌으나 하권은 사라지고 상권만이 현존한다. 주18 제1편 95투(套) 제2책(冊)에 수록된 것을 저본으로 하여 교감한 책이 한국불교전서 제1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범망경』 본문을 먼저 크게 제목을 풀이하는 문과 문장을 해석하는 문의 둘로 나누어서 해석하였다.

제목을 풀이하는 문에서 본경의 갖춘 이름인 『범망경보살심지품(梵網經菩薩心地品)』에서 ‘지’에 대한 세 가지 풀이를 소개하였다. 첫째, 보살 수행의 50계위를 소주지(所住地)라고 하고, 주1을 능주(能住)라고 한다. 둘째, 주8를 소주지라고 하고, 보리심을 능주라고 한다. 셋째, 법계를 소주지라 하고, 주9을 능주라고 한다. 저자는 이 세 가지 설을 소개하면서 비판적 태도를 보이거나, 별도의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두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장을 해석하는 문에서는 주석의 대상인 『범망경』은 61품 가운데 한 품만 한역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경전을 구성하는 세 구조, 곧 주10 · 주12 · 주11의 형식을 실제로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뜻에 의거하여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고, 『범망경』에서 주석의 대상이 되는 부분을, 서분, 정종분, 유통분으로 나누었다. 하권이 사라졌기 때문에, 정설분 가운데 48경계를 설한 부분과 유통분과 관련된 내용은 알 수 없다.

서분에서는 크게 노사나불의 서분, 타방(他方) 석가의 서분, 차방(此方) 석가의 서분이라는 세 가지으로 나누어 본경의 설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밝혔다.

노사나불의 서분에서는 당시까지 응신으로 알려진 ‘노사나’가 본경에서 설법의 화주로서 법신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삼불문(三佛門)과 일불문(一佛門)이라는 개념을 통해 해소시키고 있다.

중도주2하는 것이 주13의 의미라고 한 것, 보름마다 계를 외우는 것은 중도를 취한 것이라고 해석한 것, 계의 실체적 유(有)에 집착하면 계의 실상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주23이고 계의 실체적 무(無)에 집착하면 계를 잃는다고 한 것 등에서 원효의 중도적 사유 체계를 볼 수 있다.

또한 ‘심지’를 해석하면서, “삼취계를 소주지(所住地)로 삼는다.”라고 한 것, ‘감로문’을 해석하면서, 주21의 삼취계법을 주20로 삼는다.”라고 하고, “삼취계를 문으로 삼는다.”라고 한 것, 본문의 ‘계’를 삼취정계라고 해석하고, 삼취정계를 모두 갖추어야 주3를 얻을 수 있다고 한 것, 10중계 중 불살계(不殺戒)를 풀이하면서 10중계는 모두 섭율 의계에 속한다고 한 것 등에서 유가계인 삼취계(三聚戒, 三聚淨戒)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설분은 10중계와 48경계의 두 문으로 나누었는데, 후자는 하권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그 내용을 알 수 없고, 10중계와 관련된 내용만 파악할 수 있다.

각 계에 부여한 명칭의 의미를 지지(止持)와 주15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 계의 위범의 경 · 중을 논할 때, 전상(轉想) · 본미(本迷) 등의 개념을 차용한 것 등에서 남산율종(南山律宗)의 개조인 도선(道宣, 주22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범망경』에서 설한 10중계 가운데 제1불살계 · 제2투도계 · 제3불음계 · 제4망어계의 네 계에는 모두 중간에 ‘내지(乃至)’라는 말이 들어가 있다. 이것은 위범의 대상 범주가 확장되는 지점에 놓여져 있는데, 이것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크게 다음의 둘로 나뉜다. 즉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확장성으로 해석하는 그룹과 원론적인 의미에서의 확장성으로 제한하는 그룹이다. 원효는 지의와 마찬가지로 ‘내지’를 단지 원론적인 의미에서의 확장성으로 파악함으로써, 문장 자체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적 측면을 고려한 원리주의의 완화를 시도하였다. 이는 의적 · 승장 · 태현이 ‘내지’를 문자 그대로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확장성으로 파악하여, 원리주의적인 입장을 고수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원효의 해석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달기보살(達機菩薩)이라는 용어이다. 원효는 곳곳에서 중죄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질렀어도 달기보살은 죄가 없고 오직 복만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중생을 구제하려는 의도라면 위범이 아니라고 하는 유가계의 방편적 사유 체계 및 원효 자신의 삶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의와 평가

『범망경보살계본사기』는 한국에서 찬술된 『범망경』 주석서 중 현존하는 최초의 주석서이고, 또한 동아시아에서 찬술된 현존하는 『범망경』 주석서 가운데에서도 그 최초인 지의(智顗)의 『보살계의소(菩薩戒義疏)』 다음에 놓여진다. 보살계 관련 원효의 저술로는 현재 『보살계본지범요기』가 전해지는데, 이 책은 십중계 중 자찬훼타계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범망경보살계본사기』는 그 수록 범위가 주17를 모두 다루고 있어 이 책을 통해 그 한계를 넘어서 원효의 계율관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주석서이기 때문에 전후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있어서 원효의 여타 학자와의 사상적 교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신라 승려 자장(慈藏)에 의해서 주24가 정착되었다면, 본서는 한국에서 주25 유입의 전형을 보여 주는 저술로서 그 의미가 자못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무라 센쇼(吉津宜英)가 본서에 대해 위찬설(僞撰說)을 제시한 이래 다양한 논쟁에 휘말려 왔다. 이후 위찬설에 대한 반론, 진찬의 새로운 근거 제시, 진찬의 근거로 제시된 것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아직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논문

남동신, 「원효의 계율사상」, (『한국사상사학』 17, 한국사상사학회, 2001)
이기영, 「원효의 보살계관」(『불교학보』 3·4합집, 동국대학교, 1967)
최원식, 『신라 보살계사상사 연구』(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吉津宜英, 「法藏以前の『梵網經』 諸註釋書について」(『駒澤大學佛教學部研究紀要』, 第四十七號, 1989)

인터넷 자료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주석
주1

불도의 깨달음을 얻고 그 깨달음으로써 널리 중생을 교화하려는 마음. 우리말샘

주2

부신(符信)이 꼭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음. 우리말샘

주3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 우리말샘

주4

뛰어난 지위에 오른 보살.

주5

부처님을 체에 의해 하나로 통섭한 것.

주6

부처님을 작용에 의해 셋으로 개별화한 것.

주7

대각 국사 의천이 대장경을 결집할 때에 빠진 것을 모아 엮은 불전(佛典). 송나라, 거란, 일본 등에서 각종 장소(章疏) 3천여 권을 모아 ‘신편제종교장총록’이라는 불서 목록을 만들고 그에 따라 인쇄하여 찍어 내었다. 몽골 침입 때에 소실되었고 지금은 그 목록만 남아 있다. 우리말샘

주8

승보살계의 세 가지 기본적인 개념. 섭률의계, 섭선법계, 섭중생계이다. 우리말샘

주9

중생이 가지고 있는 마음. 종파에 따라 뜻하는 바가 다른데, 기신론에서는 세간(世間)과 출세간의 모든 것, 화엄종에서는 대법승의 본체인 여래심, 천태종에서는 나날의 망심(妄心)인 대승법의 본체라고 본다. 우리말샘

주10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서론에 해당하는 부분. 우리말샘

주11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결론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분. 교법(敎法)을 후세에 널리 전하도록 제자에게 하는 말을 적은 부분이다. 우리말샘

주12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 우리말샘

주13

삼보(三寶)의 하나. 부처의 가르침을 받들어 실천하는 사람들을 보배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14

법을 어겨 죄를 범함. 우리말샘

주15

살생, 도둑질 따위의 악한 짓을 하여 계율을 범하는 일. 우리말샘

주16

삼지(三智)의 하나. 번뇌를 끊고 자기 무명(無明)을 깨닫는 지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7

대승 불교에서, 보살이 범해서는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열 가지 계율. 살생하지 말 것, 도둑질하지 말 것, 음행(婬行) 하지 말 것, 거짓말을 하지 말 것, 술을 사거나 팔지 말 것, 사부중(四部衆)의 허물을 말하지 말 것, 나를 칭찬하거나 남을 비방하지 말 것, 재물이나 가르침을 베푸는 일에 인색하지 말 것, 성내는 마음으로 상대가 참회하는 것을 거절하지 말 것, 삼보(三寶)를 비방하지 말 것이다. 우리말샘

주18

대각 국사 의천이 대장경을 결집할 때에 빠진 것을 모아 엮은 불전(佛典). 송나라, 거란, 일본 등에서 각종 장소(章疏) 3천여 권을 모아 ‘신편제종교장총록’이라는 불서 목록을 만들고 그에 따라 인쇄하여 찍어 내었다. 몽골 침입 때에 소실되었고 지금은 그 목록만 남아 있다. 우리말샘

주19

승보살계의 세 가지 기본적인 개념. 섭률의계, 섭선법계, 섭중생계이다. 우리말샘

주20

천하가 태평할 때에 하늘에서 내린다고 하는 단 이슬. 우리말샘

주21

설명된 것. 경문(經文)으로 말하여 나타내는 문구 속의 뜻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2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596~667). 남산종(南山宗)의 창시자로 각지에서 율(律)을 설법하고, 경전 한역 사업에 참여하였다. 저서에 ≪사분율행사초(四分律行事鈔)≫, ≪속고승전(續高僧傳)≫, ≪광홍명집(廣弘明集)≫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3

법을 어겨 죄를 범함. 우리말샘

주24

소승 율장에서 말하는 계율. 십계(十戒), 구족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5

대승의 보살이 지켜야 할 계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