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이택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판의금부사, 원접사, 시강원좌빈객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치은(稚殷)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2년(순조 32)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청송(靑松)
정의
조선 후기에, 판의금부사, 원접사, 시강원좌빈객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치은(稚殷). 심의린(沈宜隣)의 아들로 심의면(沈宜冕)에게 입양되었다. 이로(李魯)의 외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7년(철종 8) 왕대비의 5순(五旬)을 경축하는 정시 문과에 병과로 등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그러나 1864년(고종 1) 의주부윤으로 재직 당시 부당하게 재물을 모아, 암행어사 이응하(李應夏)에게 적발당하였다. 그로 인해 삼사가 중벌을 주장하여 가극지전(加棘之典)에 처해 유배당하였다.

1873년에 방면되어 1874년 2월에 이조참의에 올랐다가 같은 해 7월 동지사(冬至使)의 부사로 임명되어 정사 이회정(李會正), 서장관 이건창(李建昌) 등과 함께 이듬해 4월 청나라를 다녀왔다.

1876년 성균관대사성에 오르고, 다음 해 11월에는 개성부유수로 외관직에 나아갔다. 1878년에는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1878년 8월 사계(辭陛)한 이래 1880년 12월까지 3년여에 걸쳐, 전라도 지방의 수반으로 장계를 통해 지방사정을 조정에 알리는 데 주력하였다.

즉, 자연 재해를 당한 전라도 지방민의 진휼 문제, 서해안 지방의 이양선 출몰 상황, 수세(收稅)에 따른 애로 사항 등을 일일이 기록하여 조정에 보고, 조정에서 실정에 맞는 시정(施政)을 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한편, 1880년에는 전라관찰사 재임시의 공을 인정받아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로 뽑히었다.

1882년에는 한성부판윤이 되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진하사은 겸 세폐사(進賀謝恩兼歲幣使)로 임명되어 그 해 11월 부사 민종묵(閔種默), 서장관 정하원(鄭夏源)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갑신정변이 일어나는 1884년을 전후해 이조·예조·형조·호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이듬해에는 민종묵·민영환(閔泳煥) 등과 함께 협판내무부사에 임명되었다. 그 해 군무국협판(軍務局協辦)을 거쳐 8월에는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1886년에는 판의금부사·판돈녕부사·호조판서·이조판서 등을 차례로 지냈고, 1887년에는 의정부우참찬·시강원우빈객·예문관제학을 지냈다.

문명이 높아서 교태전(交泰殿) 등 왕실의 중요 건물을 증축하거나 개축할 때 제술관이나 서사관이 되기도 하였다. 1889년 홍문관제학·내무독판을 거쳐 다음 해 형조판서·이조판서·판의금부사·한성부판윤 등의 요직을 다시 거쳤다. 그 해 9월 일본국 사신을 접견하는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대일본외교에도 종사하였다. 1891년 시강원의 좌부빈객을 거쳐 좌빈객에 올랐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일성록(日省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고종시대사』 1∼3(국사편찬위원회, 1970)
집필자
박맹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