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창 ()

오세창
오세창
서예
인물
일제강점기 때,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근역서휘』, 『근역인수』 등을 저술하며 한국서화사 연구 발전에 기여한 서예가 · 언론인 · 독립운동가.
이칭
중명(仲銘)
위창(葦滄, 韙傖)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4년(고종 1)
사망 연도
1953년
본관
해주(海州)
출생지
서울
정의
일제강점기 때,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근역서휘』, 『근역인수』 등을 저술하며 한국서화사 연구 발전에 기여한 서예가 · 언론인 ·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중명(仲銘), 호는 위창(葦滄 · 韙傖). 서울 출생. 조선 말기 중국어 역관이며 서화가 · 수집가였던 오경석(吳慶錫)의 장남이다.

활동사항

20세에 역관이 되었다가, 1886년 박문국 주사로서 『한성순보』 기자를 겸하였다. 1894년에 군국기무처 총재비서관이 되었고, 이어 농상공부 참서관, 통신원 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897년 일본 문부성의 초청으로 동경외국어학교에서 조선어교사로 1년간 체류하였다. 1902년 개화당사건으로 일본에 망명하던 중에 손병희(孫秉熙)의 권유로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1906년 귀국 후 『만세보』 · 『대한민보』 사장을 역임하였고, 3 · 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 3년간 옥고를 치렀다.

1918년에 근대적 미술가 단체의 효시인 서화협회가 결성될 때 13인의 발기인으로 참가하였으며, 민족서화계의 정신적 지도자로 활약하였다. 광복 후 서울신문사명예사장 · 민주의원 · 대한민국촉성국민회장 · 전국애국단체총연합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6 · 25전쟁 중 피난지 대구에서 사망하여 주1이 거행되었다.

한편, 일제강점기에는 주로 한묵생활(翰墨生活)로 은거하며 오경석과 자신이 수집한 풍부한 문헌과 고서화를 토대로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을 편술하였다. 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국서화가에 관한 기록을 총정리한 사전이다.

그 밖에도 조선 초기부터 근대에 걸친 서화가 · 문인학자들의 인장자료를 모아 『근역인수(槿域印藪)』를 집성하였으며, 수집한 소품 고서화들을 화첩으로 묶은 『근역서휘(槿域書彙)』 · 『근역화휘(槿域畫彙)』 등 한국서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글씨는 전서예서를 고격(高格:높은 품격)하게 즐겨 썼다.

특히 전서와 예서를 혼합한 글씨나 와당(瓦當), 주2, 주3 형태의 구성적인 작품도 시도하여 독특한 경지를 이루었다. 또한 고서화의 감식과 전각(篆刻)에 있어서도 당대의 일인자였다. 합천 해인사의 「자통홍제존자사명대사비(慈通弘濟尊者四溟大師碑)」의 두전(頭篆: 빗몸의 머리에 돌려가며 쓴 전자)을 비롯한 기념비 글씨도 전국 곳곳에 많이 남겼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한국서화인명사서』(김영윤, 예술춘추사, 1959)
『한국현대서예사』(임창순, 통천문화사, 1981)
주석
주1

사회적으로 공로가 큰 사람이 죽었을 때에 모든 사회단체가 연합하여 장례를 치름. 또는 그 장례.    우리말샘

주2

옛날 돈.    우리말샘

주3

고대 중국에서, 거북의 등딱지나 짐승의 뼈에 새긴 상형 문자. 한자의 가장 오래된 형태를 보여 주는 것으로, 주로 점복(占卜)을 기록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