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골산성전투 ()

목차
관련 정보
북한 용골산성 전경
북한 용골산성 전경
조선시대사
사건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조선과 후금군 사이에 벌인 전투.
목차
정의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조선과 후금군 사이에 벌인 전투.
내용

의병장 정봉수(鄭鳳壽)가 의병을 일으켜 용골산성에서 후금군을 크게 물리치고 승리한 싸움이다.

1627년 정월 후금이 침입하면서 이들이 급히 남으로 진군하자 관군의 방어선이 무너지게 되었다.

이 해 1월 말부터 2월에 걸쳐 각처에서 의병이 봉기해 후금군에 저항하였다. 이 때 의병장 정봉수가 이끄는 의병의 활약이 가장 두드러졌다. 정봉수는 영산현감을 지낸 전직관료로서, 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심하였다.

당시 철산 용골산성에는 성이 험해 적을 피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 인근 고을 백성들이 이곳으로 모여 들어 정봉수를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이에 때를 기다리던 정봉수가 쾌히 응하고 의병 모집에 박차를 가하자 며칠 안 되어 수천 명의 의병이 모여들었다.

그는 주1 김종민(金宗敏)을 중군으로 삼고 미곶첨사(彌串僉使) 장사준(張士俊) 등과 함께 성을 지켜 피난온 백성들을 구할 것을 결심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조정에서는,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본성을 지킨다는 것은 무리라 판단하고 평안감사에게 피난민들을 산군(山郡)으로 철수시킬 것을 종용하였다. 그러나 정봉수는 이를 듣지 않았다.

성을 함께 지키기로 한 장사준이 배신해 후금 진영과 내통하면서 정봉수도 함께 투항할 것을 권유했으나 이를 거절하였다. 정봉수는 성안에 들어가 장사준을 베고 성안의 남은 병사를 모아 함께 죽을 결심을 하고 적의 완강한 공격을 물리쳤다.

정봉수는 조선과 후금 사이에 이미 화의가 성립되었음에도 계속 성에 머물면서 항전하였다. 이에 후금군은 의주 · 창성 · 곽산의 병력을 총집결해 이 성을 맹렬히 공격했으나 많은 전사자를 내고 퇴각하였다.

이어 후금군 부장(副將) 유해(劉海 : 일명 興朝)가 거듭 출성을 권하였다. 그러나 이에 불응하자, 재차 공격을 감행했으나 또 많은 사상자만 내고 의주로 퇴각하였다.

화의가 성립된 뒤의 저항이라 하여 후금에게 맹약의 위배라는 구실을 주기는 했으나 조선에도 힘과 용기 있는 인물이 있음을 보여준 싸움이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난중잡록(亂中雜錄)』
『응천일록(凝川日錄)』
「정묘병자호란의병고(丁卯丙子胡亂義兵攷)」(이장희, 『건대사학』 4, 1974)
주석
주1

문무과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하지 아니한 사람. 조선 중기 이후에는 주로 무과에 급제하고 벼슬을 받지 못한 사람만을 가리켰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장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