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재룡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대한광복회를 결성하여 독립군 연락기지 건설, 군자금 모금, 무기 조달, 친일파 처단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견(利見)
백산(白山)
이칭
경옥, 김재수, 김재서, 김상호, 김한조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4년(고종 21)
사망 연도
1955년
본관
단양(丹陽)
정의
일제강점기 때, 대한광복회를 결성하여 독립군 연락기지 건설, 군자금 모금, 무기 조달, 친일파 처단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단양(丹陽). 일명 김경옥(金景玉)·김재수(金在洙)·김재서(金在瑞)·김상호(金尙浩)·김한조(金漢朝). 자는 이견(利見), 호는 백산(白山)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3년 대한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참교(參校)로 근무하였다.

1906년 의병이 되기 위해 탈영, 영천의 정용기(鄭龍基)와 함께 산남의진(山南義陣)을 일으킨 뒤 연습장(練習將)으로 활약하면서 영일의 입암전투(立巖戰鬪) 등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정용기가 죽은 뒤에는 그를 계승한 그의 아버지 정환직(鄭煥直) 진영의 선봉장으로서 영일·경주·청송·영천·대구 근방에서 용맹을 떨쳤다.

1908년 무기조달 관계로 대구에 숨어들었다가 잡혀 종신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는데, 대한제국이 멸망한 뒤 1911년에 이른바 은사령에 따라 출옥하였다.

1915년 대구에서 박상진(朴尙鎭)·채기중(蔡基中)과 함께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를 결성하였다. 이 조직은 경상북도·충청남도·전라남도·황해도를 비롯한 전국으로 뻗어나가 1910년대 독립운동을 하는 국내 조직 중 가장 큰 규모로 발전하였다.

이때 국내와 국외의 연락책임을 맡아 국내에서는 광주·목포 등지에서 독립군 연락기지 건설과 군자금 모금을 위하여 활약하였고, 만주에서는 안동에 상주하면서 대한광복회와 재만독립군기지인 서간도의 부민단(扶民團), 신흥학교와의 연락업무를 맡았다. 또한 국내로 보내는 무기 조달과 격문 발송 등의 일을 맡아 보았다.

1917년을 전후하여 전국적으로 송달되어 화제가 되었던 대한광복회 격문은 거의 그의 주선에 의하여 배포된 것이다. 또 1917년 11월에 처단된 칠곡의 친일 부호 장승원(張承遠)과 1918년 1월에 처단된 아산의 친일파 도고면장 박용하(朴容夏)에 대한 암살 투쟁과 무기 공급 등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1918년 대한광복회 조직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거의 파괴당하자, 남아 있는 한훈(韓焄)·권영만(權寧萬)과 함께 대한광복회의 조직 회복에 주력하였다. 1920년 군산에서 일본 경찰에 잡혀 무기징역으로 옥고를 치렀다. 그 뒤 감형되어 1937년 풀려나왔다.

출옥 후 옥중에서 얻은 병이 깊어 권영만 등의 지원을 받아 살아가던 중 8·15광복을 맞았다. 그 뒤 권영만·이관구(李觀求: 일명 李海量) 등과 함께 대한광복회를 재건하여 독립운동 유적지를 정화하는 사업에 전념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광복회연구』(조동걸, 『한국사연구』42, 1983)
『산남의진유사』(산남의진유사간행위원회, 한국언론사, 1972)
『영남출신독립운동약전』(윤보현, 광복선열추모회, 1961)
집필자
조동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