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충필 ()

노우문집
노우문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노우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창백(昌伯), 백경(伯敬)
노우(魯宇)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5년(영조 1)
사망 연도
1789년(정조 13)
본관
영일(迎日)
출생지
미상
정의
조선 후기에, 『노우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처음 이름은 흥필(興弼), 자는 창백(昌伯), 후에 자를 백경(伯敬)으로 고쳤다. 호는 노우(魯宇). 아버지는 정욱(鄭煜), 어머니는 영양이씨(永陽李氏) 이수춘(李秀春)의 딸이다.

1747년(영조 23)에 두역(痘疫)이 창궐하자 아버지를 따라 경주(慶州)에서 영양(英陽) 입암(立巖)으로 옮겼다. 이후 대구 칠계에 가서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하에서 두와 최흥벽(崔興壁)과 동문수학하였다. 또한 백불암과 절친한 친구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에게도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병약해 일찍이 과거를 단념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전념, 도서(圖書), 상수(象數), 율려(律呂), 산법(算法), 지리(地理) 등을 두루 섭렵, 깊이 연구하지 않는 바가 없었으며, 전초(篆草)에도 뛰어나 원근에 널리 알려졌다.

1782년(정조 5)에 경주(慶州) 옥산서원(玉山書院)에서 정구(鄭逑)의 『태극문변(太極問辨)』을 중간(重刊)할 때, 이 책이 직접 정구의 수교(手校)를 거치지 못해 와오(訛誤)가 더러 있음을 밝힌 장현광(張顯光)의 발문(跋文)을 꼭 부간(附刊)해야 한다고 발의하였다. 결국 이 발문(跋文)으로 인해 옥산서원(玉山書院)과 회연서원(檜淵書院) 간에 논쟁이 일기 시작해 마침내 도내(道內) 모든 식자들이 정충필의 의견에 찬성하게 되었다.

정충필은 특히 역상(曆象)에 밝아 ‘일행도수(日行度數)’와 ‘월행도수(月行度數)’를 계산해 일월(日月)이 상회(相會)하는 수(數)를 구해 19년에 일곱 번 윤달을 두는 ‘치윤법(置潤法)’을 계산해 놓았을 뿐만 아니라, 역도(易圖)에 있어서 이제껏 후천도(後天圖)에 중괘원도(重卦圓圖)가 없던 것을 새로이 계발(啓發)해 마침내 이를 완성하였다. 저서로는 『노우문집(魯宇文集)』6권이 있다.

참고문헌

『노우문집(魯宇文集)』
『임여재문집(臨汝齋文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상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