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평왕 ()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신라의 제26대 왕.
이칭
성명
김백정(金白淨)
이명
김진평(金眞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632년(진평왕 54)
주요 관직
신라 제26대 왕
내용 요약

진평왕은 삼국시대 신라의 제26대(재위: 579~632) 왕이다. 진흥왕의 영토 확장을 토대로 관제 정비 등 지배체제 구축과 정비에 힘썼다. 특히, 초기에는 군사·재정·관리·인사 관련 관서를 주로 정비하였고, 후기에는 관원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였다. 중국 수나라와 조공을 통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중국 문물과 제도를 신라에 반영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석가불 신앙을 내세우면서 입당 구법승을 적극적으로 파견하여 불교사상을 통해서도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려고 하였다. 고구려·백제와 치열한 영역 다툼을 벌이기도 하였다.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제26대 왕.
가계 및 즉위

진평왕(眞平王)의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백정(白淨)이다. 중국에서는 김진평(金眞平)이라고 불렀다. 아버지는 진흥왕의 태자인 동륜(銅輪)이며, 어머니는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의 딸인 만호부인(萬呼夫人)이다. 왕비는 김씨로서 복승갈문왕(福勝葛文王)의 딸인 마야부인(摩耶夫人)이다. 태어나면서부터 얼굴이 기이하고 몸이 매우 컸으며, 의지가 깊고 식견이 명철하였다. 작은 아버지인 진지왕화백회의에 의해 폐위되자 국인(國人)의 추대로 즉위하였다.

주요 활동

진흥왕이 주도한 영토 확장을 뒤이어 왕권의 위상을 강조하는 데 힘썼다. 특히, 관제(官制) 정비에 진력하였다. 즉위하던 해(579) 8월에 이찬(伊飡) 노리부(弩里夫)상대등(上大等)에 임명해 일체의 국정을 맡겼다. 580년(진평왕 2)에는 지증왕의 증손인 이찬 후직(后稷)을 병부령(兵部令)에 임명해 군사권을 장악하게 하였다. 진평왕은 이 두 사람의 도움을 받으면서 관제의 정비와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독자적인 왕권을 수립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81년에 관리의 인사를 담당하는 위화부(位和府)를 설치하였으며, 583년에는 선박을 관리하는 선부서(船府署)를 설치하고, 대감(大監)제감(弟監)을 각각 1인씩 두었다. 584년에는 국가의 공부(貢賦)를 관장하는 조부(調府)를 설치하고 조부령(調府令) 1인을 두었다. 같은 해에 또 거승(車乘)을 관장하는 승부(乘府)를 설치하고 승부령 1인을 두었다. 586년에는 문교와 의례를 담당하는 예부(禮部)를 설치하고 예부령 2인을 두었다. 591년에는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영객부령(領客府令) 2인을 두었다.

여기서 진평왕 대 초기인 580년대에 위화부 · 조부 · 예부와 같이 중앙 관부 중에서도 핵심적인 관부가 설치된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시기는 신라의 관제 발달사상 발전기로서 새로운 행정 관부의 창설뿐만 아니라 각 관청 간의 분업 체제가 확립되었다. 또한, 소속 관원 수를 규정함으로써 조직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진흥왕 대의 정복국가 체제에서 관부정치 체제로의 질적인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진평왕 대 말기인 622년 2월 궁정 관부를 총괄하는 내성사신(內省私臣)을 설치하였고, 진지왕의 아들 김용춘(金龍春)을 처음으로 임명하였다. 이 밖에도 623년 정월 병부에 대감 2인을 두었으며, 624년 정월 시위부(侍衛府)에 대감 6인, 상사서(賞賜署)대도서(大道署)대정(大正) 1인을 각각 설치하였다.

584년에 건복(建福)이라고 개원하여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대외적으로 자주성을 천명하였다. 한편, 581년에 건국하여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의 분열기를 극복하고 589년에 통일 왕조로 등장한 중국 수나라와 조공을 통한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진평왕 대에는 중국에서 발달한 고도의 불교문화를 수용하기 위한 고승들의 구법행(求法行)과 귀국행(歸國行)이 빈번하게 있었다. 고승들의 귀국은 대체로 외교사절의 귀국 행차와 같이 이뤄지고 있어서 불교 수용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지원을 짐작하게 한다. 진평왕 7년(585)에 남조(南朝)의 진(陳)나라로 구법을 위해 떠났던 고승 지명(智明)은 602년에 수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상군(上軍)과 함께 귀국하여 왕의 존경을 받아 대덕(大德)이 되었다. 589년에 진나라로 구법행을 떠났던 원광(圓光)은 600년에 조빙사(朝聘使)인 나마(奈麻) 제문(諸文)과 대사(大舍) 횡천(橫川)과 함께 귀국하였다. 또한 596년에 수나라로 구법행을 떠났던 고승 담육(曇育)은 605년 수나라에 파견되었던 입조사(入朝使) 혜문(惠文)과 함께 귀국하였다.

국가의 지원을 받았던 고승들은 종교적인 불사(佛事)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국가사(國家事)에도 참여함으로써 이 시기의 불교는 호국불교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드러냈다. 진평왕 대에는 진흥왕 대의 고구려 · 백제 지역에 대한 영역 확장 결과, 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양국의 빈번한 침입을 받았다. 602년에는 백제가 아막성(阿莫城)으로 공격해 왔고, 603년에는 고구려가 북한산성(北漢山城)으로 침입해 왔다. 이에 진평왕은 양국의 침입을 방어하는 한편, 608년에 수나라의 군사와 고구려를 정벌하기 위해 원광(圓光)에게 「 걸사표(乞師表)」를 짓게 하여, 611년에 이를 수나라에 보냈다. 그 결과, 다음 해에 수나라 양제(煬帝)의 고구려 정벌이 있게 되었다.

이후에도 백제는 611년에 신라의 가잠성(椵岑城)을 함락시키고, 616년에는 모산성(母山城)을 공격하였다. 그리고 624년 백제의 속함성(速含城)을 비롯한 5성 공격에 대한 신라의 방어는 실패하고 말았다. 이와 같이 신라는 여러 차례 백제의 공격을 받아 곤경에 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무렵 신라는 수나라를 이어서 618년에 중국의 통일왕조로 등장한 당나라와 621년부터 조공을 통한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거의 매년 당나라에 외교사절을 파견하였다.

신라가 당나라와 수립한 외교관계는 고구려에 대한 당나라의 외교적 견제에 이용될 수 있었다. 즉, 고구려와 백제의 침입으로 곤경에 처한 신라는 625년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해 고구려의 빈번한 침입으로 인해 당나라에 대한 외교 통로가 막히게 되었음을 호소하였다. 이에 당나라 고조는 우선 626년에 사신 주자사(朱子奢)를 신라와 고구려에 보내 양국이 화합하라는 외교적 중재에 나서기도 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는 신라에 대한 공격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도 하였다.

한편, 628년에 가잠성을 포위한 백제군을 격파하기도 하였다. 629년에는 대장군 김용춘김서현(金舒玄) · 김유신(金庾信) 부자로 하여금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게 하여 항복을 받기도 하였다. 진평왕은 재위 54년 만에 죽었다. 한지(漢只)에 장사지냈다. 당나라 태종(太宗)은 국서를 보내어 진평왕에게 좌광록대부(左光祿大夫)를 추증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단행본

이정숙, 『신라 중고기 정치사회 연구』(혜안, 2012)
김덕원, 『신라중고정치사연구』(경인문화사, 2007)

논문

전덕재, 「도화녀비형랑 설화의 형성 배경과 역사적 의미」(『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40, 경주사학회, 2019)
김숙희, 「신라 진평왕대 내성사신의 설치와 그 배경」(『대구사학』 129, 대구사학회, 2017)
고현아, 『신라 중고기 진흥왕계 왕실의 구축과 정치이념 연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박용국, 「신라 진지왕의 폐위와 진평왕 초기의 정치적 성격」(『대구사학』 85, 대구사학회, 2006)
전미희, 「신라 진평왕대 가신집단의 관료화와 그 한계」(『국사관논총』 48, 국사편찬위원회, 1993)
김두진, 「신라 진평왕대 초기의 정치개혁- 삼국유사 소재 「도화녀·비형랑」조의 분석을 중심으로」(『진단학보』 69, 진단학회, 1990)
신형식, 「신라병부금고」(『역사학보』 61, 역사학회, 1974)
이기백, 「품주고」(『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