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군 이연 신도비 ( )

목차
관련 정보
화산군 이연 신도비
화산군 이연 신도비
서예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조선후기 종실인사 화산군 이연의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조선후기 종실인사 화산군 이연의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1747년(영조 23) 건립. 총 높이 495㎝, 비신의 높이 295㎝, 너비 104㎝, 두께 62㎝. 1980년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일대가 주택가로 변하여 묘는 이장되었고, 신도비와 문인석만 남아 있다. 화강암으로 만든 귀부(龜趺)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고 그 위에 첨석[檐石:처맛돌]을 얹었는데, 귀부는 비신에 비해 크고 둔중하지만 당시의 석비 조각으로는 우수한 편이며, 첨석의 용마루·처마·공포 조각도 섬세하다.

화산군은 선조의 일곱째 아들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손자로 부친은 해원군(海原君) 이건(李健)인데, 숙부 해양군(海陽君) 이희(李僖)가 아들이 없자 그의 가계를 이었다. 사망 후 1726년(영조 2)에 현록대부(顯祿大夫) 도총부도총관(都摠府都摠官)에 추증되었고, 1746년에는 좌의정 송인명(宋寅明)이 그의 효행을 임금에게 아뢰자 효간(孝簡)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비문은 송인명이 지었고, 글씨는 조카 서평군(西平君) 이요(李橈)가 조선화된 송설체(松雪體)풍으로 썼으며, 두전(頭篆)은 아들 낙창군(洛昌君) 이당(李檔)이 썼다. 비문에는 화산군의 가계(家系)와 성장과정 및 효성과 우애가 깊은 성품과 그의 행적이 적혀 있으며, 뒤쪽에는 세 아들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낙창군((洛昌君) 이당(李樘)·능창군(綾昌君) 이숙(李橚)을 비롯한 자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서울금석문대관』(서울특별시, 1987)
『서울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완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