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현전투 ()

근대사
사건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전투.
정의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전투.
역사적 배경

1894년 3월 20일전라도 무장에서 전봉준(全琫準)·손화중(孫化中)·김개남(金開男) 등의 남접계 동학지도자들을 중심으로 4,000여 명의 동학농민군들이 들고 일어섰다.

이들은 태인 주산리에서 태인접주 최경선(崔敬善)이 이끄는 300여 명의 농민군, 말목장터에 집결해 있던 수백 명의 농민군과 합세하여 고부 관아를 점령하였다.

경과와 결과

고부 관아를 점령한 농민군들은 4일간 머물며 화약고를 불태우는 등 폐정을 혁파한 뒤, 3월 25일경 백산(白山)으로 진출하였다. 그런데 백산은 고부 관아로부터 북쪽에 있는 높이 50m도 되지 않는 작은 언덕이었으나 인근의 곡창지대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요새지였다.

농민군이 백산에 진을 치고 있었는데, 인근 금주·부안·고창 등 여러 읍의 동학농민군이 속속 집결하였다. 그래서 농민군 진영에서는 전봉준을 대장으로 추대하고 손화중·김개남을 총관령으로, 또 최경선을 영솔장에 임명하는 등 진영을 확대·개편하였다.

또한, 창의의 뜻을 밝히는 「사대명의(四大名義)」를 발표하고, 민중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촉구하는 격문(檄文)을 전국에 띄웠다. 그 뒤 4월 1일태인, 4월 4일 부안관아 등을 차례로 점령하였다.

한편, 당시 전라감사 김문현(金文鉉)은 무장에서 일어난 동학농민군들이 고부를 점령하고 백산에 집결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이를 의정부에 보고하는 한편, 이서와 군교를 풀어 전주성의 서문과 남문을 지키게 하였다.

그리고 1893년에 설치된 무남영(武南營)의 영관 이경호(李景鎬)로 하여금 무남영의 군대와 잡색, 각 읍에서 올라온 포군(砲軍)을 거느리고 금구 대로로 나가 동학농민군의 진격을 막도록 조처하였다.

그런데 4월 4일 부안관아를 점령하여 무기고를 열고 무장을 강화한 농민군 1만여 명은 전라감영군이 농민군을 진압하러 내려온다는 정보를 듣자, 전주를 향해가던 진로를 바꾸어 부안과 고부의 접경지대에 근접한 성황산(城隍山)에 진을 치고 있었다.

이때 무남영병 700여 명과 보부상을 주축으로 이루어진 향병 600여 명은 원평·태인을 거쳐 백산 부근까지 진출하였다. 드디어 4월 6일 농민군과 감영군은 태인의 용산 화호(禾湖)나루 부근에서 최초로 접전하였다.

이때 농민군 측은 거짓 패한 체하며 후퇴하였다. 다시 농민군 측이 고부의 매교(梅橋)로 퇴각하자, 백산의 감영군이 추격하였다. 이에 농민군은 또다시 거짓 패한 체하며 황토재로 올라갔다. 감영군 역시 계속 추격하여 황토재 인근에 진을 쳤다.

이렇게 두 진영이 대치하고 있는 동안 날이 어두워져 4월 6일은 저물어갔다. 4월 7일 새벽이 되자 황토재 마루에서 몸을 숨기고 있던 농민군은 고개 아래에 주둔하고 있는 감영군 진영을 향하여 포를 쏘아대며 기습공격을 감행하였다.

이에 감영군은 미처 대처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며 일거에 혼란에 빠지고 말았다. 농민군은 혼란에 빠진 감영군을 뒤쫓아 영관 이경호 등을 죽이는 등 감영군을 격퇴함으로써 관군과의 최초의 접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의의와 평가

전투에서 사상된 관군의 숫자는 1,000여 명이라고 하나, 과장된 듯하며 200여 명 정도로 보인다. 황토현전투는 동학농민군들의 사기를 고무시키고 관군의 사기를 크게 저하시킴으로써 동학농민봉기의 전개과정에 큰 영향을 끼쳤다.

참고문헌

『동학란기록(東學亂記錄)』
『오하기문(梧下記聞)』
『동비토록(東匪討錄)』
『동학사(東學史)』(오지영, 영창서관, 1940)
『전봉준실기(全琫準實記)』(장봉선, 이로재, 1936)
「전봉준과 동학농민전쟁 ① 봉기-전주성점령-」(이이화, 『역사비평』 7, 1989)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의 제1차농민전쟁(第一次農民戰爭)」(신용하, 『한국학보(韓國學報)』 40, 1985)
집필자
박맹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