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사탕 ()

영화
작품
이스트 필름이 제작하고 이창동이 연출한 대중영화.
목차
정의
이스트 필름이 제작하고 이창동이 연출한 대중영화.
내용

김영호(설경구)는 ‘가리봉 봉우회’ 야유회에 나타나서 노래를 부른 다음 철로 위로 올라간다. 야유회 장소는 20년 전 순임(문소리)과 함께 소풍을 왔던 곳이다. 시간은 거슬러 3일 전으로 이동한다. 영호는 이혼과 사업의 실패로 인해 자살을 시도한다. 이때 순임의 남편이 찾아와 영호에게 카메라를 전해준다. 영호는 첫사랑 순임을 찾아가 죽어가고 있는 그녀 곁에서 박하사탕을 들고 오열한다.

시간이 다시 1994년으로 이동한다. 영호는 자신이 고문한 박명식을 만나고, 그에게 삶은 아름답다고 말한다. 1984년 영호는 경찰이 되어 박명식을 고문한다. 영호는 박명식에게 삶은 아름답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영호는 경찰이 되어 폭력적인 시대로 인해 거칠게 변해간다. 1980년 순임은 영호를 찾아와 사랑을 고백하면서 카메라를 선물하고, 영호는 광주진압작전에 투입되어 소녀를 사살하게 되면서 폭력적인 현대사로 인해 스스로 상처를 받아 점차 삶이 파멸되어간다.

의의와 평가

시간이 과거에서 현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선형적인 구조에서 벗어나 현재에서 과거로 거슬러 가는 비선형적인 구조로 대안적인 서사 형식을 보여준 작품이다. 국가 폭력과 개인의 상처 그리고 이로 인한 파멸의 서사는 한국영화에서 하나의 전형을 형성하고, 이 작품은 국가폭력으로 인한 구성원 개인의 파멸을 극명하게 보여준 대표적인 작품이다. 과거의 소환과 이로 인한 현재의 자기 성찰이 당시 코리안 뉴웨이브 영화의 화두였다는 사실을 입증해 준다. 2000년대는 시작되었지만 1980년대의 상처는 개인의 삶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이 영화는 한국의 현대사를 소환하여 역사적 트라우마로 인한 개인의 고통을 재현하였고, 국가 폭력이 낳은 상처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한국리얼리즘 영화의 계보를 이어간다. 1999년 제4회 부산영화제 개막작이었으며, 제37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 그리고 신인남우상(설경구)과 시나리오상을 수상하였다. 제21회 청룡영화상에서도 남우주연상과 각본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영화100선』(한국영상자료원 편, 한국영상자료원, 201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