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기화(海東奇話)
(閑居漫錄)』, 김득신(金得臣)의 『종남총지(終南叢志)』, 유성룡(柳成龍)의 『서애잡록(西崖雜錄)』, 찬자 미상의 『비장잡기(裨將雜記)』, 김정국(金正國)의 『사재척언(思齋摭言)』, 차천로(車天輅)의 『오산설림(五山說林)』, 정재륜의 『공사문견록(公私聞見錄)[東平聞見錄]』,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 이제현(李奎報)의 『백운소설(白雲小說)』, 이정형(李廷馨)의 『동각잡기(東閣雜記)』, 찬자 미상의 『남계집(南溪集)』, 이이명(李頤命)의 『소재집(疎齋集)』, 김시양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 이처사(李處士 : 李墍)의 『송와잡기(松窩雜記)』 등이지만, 원전명의 오기가 꽤 눈에 띄며, 출전이 누락되어 있는 경우도 매우 많다. 『기문총화(記聞叢話)』와 내용이 거의 합치되는 점으로 미루어 양본은 이본으로 간주하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