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
전민변정도감은 고려 후기에 권세가의 대토지 불법 소유 및 농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이다. 고려 후기에 토지 침탈과 백성의 궁핍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1269년(원종 10)에 처음 설치된 기구였다. 이후 1288년(충렬왕 14), 1301년(충렬왕 27), 1352년(공민왕 1), 1366년(공민왕 15), 1381년(우왕 7), 1388년(우왕 14)에도 역시 토지와 백성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해 반복해서 설치되었으나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폐지되었다.전민변정도감」(『한국중세사연구』 62, 한국중세사학회, 2020) - 채웅석, 「고려후기 사송의 범람과 국가의 대책」(『한국사연구』 187, 한국사연구회, 2019) - 신은제, 「신돈 집권기 전민추정도감의 설치와 그 성격」(『역사와 경계』 95, 부산경남사학회, 2015) - 신은제, 「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