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조중익기탕 ()

목차
의약학
개념
기·혈이 모두 약하여 발생하는 두통에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기·혈이 모두 약하여 발생하는 두통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중국의 『동원십서(東垣十書)』에 첫 기록이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의 두문(頭門)에 인용되어 있다.

조중익기탕 처방은 황기 7.5∼8.0g, 인삼·창출·감초 각 3.8∼4.0g, 진피·승마·시호 각 1.5∼2.0g, 목향 1.0∼1.5g으로 이루어졌으며, 내상증(內傷症) 또는 먹은 음식이 그대로 배설되거나 백농변증(白膿便症)에 효능이 있고, 가미조중익기탕의 처방은 위의 처방에 당귀·천궁 각 2g, 세신·만형자 각 1.5g이 보태어져 이루어졌으며, 허약한 체질을 가진 사람이나 신경과민한 사람의 만성두통증에 장기간 부작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이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원십서(東垣十書)』
『제중신편(濟衆新編)』
집필자
육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