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활산 ()

목차
의약학
개념
치아질환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치아질환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풍습(風濕)의 환경에 처하여 두통이 나고 잇몸이 흔들리고 염증이 생길 때 응용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동원십서(東垣十書)』에 첫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 아치편(牙齒篇)에 인용되어 있다.

처방은 시호(柴胡) 18∼20g, 마황·방풍(防風) 각각 11∼12g, 양경골회(羊脛骨灰) 7.5∼8.0g, 강활(羌活) 4∼6g, 초두구(草豆蔻) 4g, 당귀 2∼3g, 창출(蒼朮)·승마 각각 1.5∼2.0g, 고본(藁本)·백지(白芷)·계지(桂枝) 각각 1.0∼1.5g과 세신(細辛) 적당량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약재를 고운가루로 만들어 온수로 양치질하거나 닦는다. 현재도 이가 아플 때 약을 복용하기가 곤란한 특이체질인 경우에 이 처방약으로 양치질하여 좋은 효과를 보고 있다.

참고문헌

『동원십서(東垣十書)』
『동의보감(東醫寶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