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비환 ()

목차
의약학
개념
위와 지라를 강화시키는 데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위와 지라를 강화시키는 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고래로 지라와 위의 소화기능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임상적인 측면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 중국의 『필용방(必用方)』에서 첫 기록이 보이나 원본은 찾을 길이 없고, 우리나라에서는 『동의보감』 잡병편(雜病篇)에 기록되어 있다.

처방은 백출 190∼200g, 백복령·백작약·반하강제(半夏薑製) 각 110∼120g, 진피·신곡·산사육·당귀주세(當歸酒洗)·천궁 각 75∼80g을 고운가루로 하여 박하엽 끓인 물에 쌀풀을 쑤어 벽오동씨만한 크기로 환을 만들어 석송자(石松子)로 환의(丸衣)를 하여 건조시킨 다음 1회 50∼60, 70∼80환을 증세에 따라 복용한다.

이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식욕이 증진되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비위를 튼튼히 한다. 현재도 한약방·한의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명방의 하나이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약품자원식물학(藥品資源植物學)』(육창수 외, 진명출판사, 1983)
집필자
육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