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주 ()

목차
인문지리
지명
평안북도 박천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신도군(信都郡), 고덕현(古德縣)
목차
정의
평안북도 박천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고구려의 땅으로, 한때 발해의 영토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 초에 신도군(信都郡, 또는 古德縣)이라 하였는데, 960년(광종 11) 습홀(濕忽)에 성을 쌓고 승격시켜 가주라 칭하였다.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로 대체하였다.

1221년(고종 8) 반역이 일어났다 하여 무령(撫寧)으로 낮추었으며, 1231년 몽고병을 피하여 해도(海島)로 옮겼다가 1261년(원종 2) 육지로 나와서 태주(泰州)·박주(博州)·무주(撫州)·위주(渭州) 등을 모두 가주군에 예속시키는 5성겸관(五城兼官)을 두었다.

뒤에 태주·무주·위주의 3주는 독립시키고 박주군만은 그대로 두었다가 1371년(공민왕 20) 떨어져 나갔다. 1413년(태종 13)가산군(嘉山郡)이라 개칭하고 현·군을 되풀이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새로운 박천군에 편입되어 가산면과 양가면이 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집필자
노도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