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군으로서 동쪽은 단천군, 서쪽은 삼수군, 남쪽은 풍산군, 북쪽은 혜산군과 접하고 있다. ‘갑산(甲山)’이라는 지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 나라의 산 중 높은 산, 높은 봉우리, 높은 고개가 제일 많은 곳이다.
동경 128°∼128°42′, 북위 40°54′∼41°20′에 위치하며 동서 약 60㎞, 남북 약 47㎞이고, 면적 139.8㎢, 인구 4만6442명(1944년 현재)이다. 5개 면 137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갑산면 북부리이다.
지형은 남동에서 북서로 점차 낮아지는 남고북저의 전형적인 경동지형(傾動地形)을 이룬다. 군내는 평지라고 해도 해발 800m 높이에 있으며, 대표적인 산으로는 삼수군과의 경계에 두설봉(頭雪峰, 2,488m), 풍산군과의 경계에 백모봉(白茅峰, 1,909m), 혜산군과의 경계에 대덕산(大德山, 1,453m)·덕만산(德滿山, 1,506m)이 있으나, 모두 해발 1,200m의 평균고도를 유지하는 탁상(卓狀)의 고원 위에 솟아 있어 산세는 험하지 않다.
이들 고봉 사이에는 현무암의 용암대지가 발달해 있으며, 화전으로 개간된 곳이 많다. 군내를 흐르는 주요 하천은 허천강(虛川江)·운총강(雲寵江)·진동천(鎭東川)·회린천(會麟川) 등으로, 허천강은 풍산군 명당봉(明堂峰)에서 발원해 이곳으로 흘러 들어와 산남·갑산·회린면을 경유해 혜산진(惠山鎭) 하류에서 압록강에 유입된다.
진동천은 진동면 동점(銅店)을 기점으로 양유리를 경유해 갑산면에서 허천강에 합류하고, 회린천은 동인면 종포리·풍산리·박달리 계곡에서 발원해 회린면 상포항리와 하포항리를 경유, 허천강에 합류하며 이들 하천의 양안에는 소규모의 하안단구가 발달해 있다. 토양은 비옥도가 낮은 포드졸(회백색 토양)이 널리 분포하고, 용암대지에는 화산회토가 분포한다.
기후는 군의 위치가 고원상에 있고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며 한서의 차가 크다. 연평균기온은 3.5℃이고 1월 평균기온 ·19.1℃, 8월 평균기온 21.8℃ 내외로 기온의 연교차가 40℃에 달한다. 연강수량은 456.9㎜에 불과한 소우지(小雨地)이다.
[고대]
이곳에서는 구석기시대뿐만 아니라 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유물·유적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인접한 자성군 장토면 장성동과 토성동에서 신석기시대의 유물·유적이 발견되었고, 또 같은 곳에서 청동기시대의 유물과 주거지가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신석기시대에는 이곳에 사람이 거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역사시대에 들어와 이 군은 고구려의 영토에 편입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자세한 기록은 없다. 244년(동천왕 18)에 위나라 장군 관구검(毌丘儉)의 침공으로 국내성이 함락되고 위군이 계속 추격해 오자 동천왕은 강계·장진·황초령을 지나 멀리 동해안의 매구(買溝 : 지금의 文川)로 피난했다가, 다시 북옥저를 거쳐 국내성으로 돌아가는 수난을 겪기도 하였다. 발해시대에는 서경압록부(西京鴨淥府)에 속해 있었다.
[고려]
발해가 망한 뒤 이곳에는 오랫동안 거란 및 여진이 분산해 거주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공민왕이 반원정책으로 쌍성총관부를 공략해 이곳에 화주목(和州牧)을 설치하고, 이어서 삼살(三撤 : 지금의 北靑)을 점령해 이곳을 근거지로 복주(福州 : 지금의 端川)·길주 등지로 진출, 북진의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로써 함경남도에 해당하는 땅은 대체로 수복되었다.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해 실권을 잡게 되자, 그의 선조가 출생하고 성장한 땅을 회복한다는 큰 뜻에서 더욱 북진해 1391년에는 본래 허천부(虛川府)였던 곳을 갑주(甲州)라 칭하고 만호부를 두어 다스렸다.
[조선]
1413년(태종 13) 10월에 ‘주(州)’자가 붙은 군현의 이름을 모두 ‘산(山)’·‘천(川)’자로 고칠 때 갑산군으로 고쳤다. 당시 갑산군은 이곳뿐만 아니라 여연(閭延)·후주(厚州)·무창(茂昌) 등의 여러 지역을 관할하고 있었다.
1416년에 여연이 군치(郡治)인 갑산과 너무 멀다 해 갑산군 관하의 일부를 분리해 지금의 중강진 부근에 여연군을 설치하고, 이를 동북면(태종 16년에 함길도로 개칭)으로부터 서북면(태종 17년에 평안도로 개칭)으로 이관시켰으며, 또한 후주·무창을 여연군에 이속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따르면 1432년(세종 14)에 호수 356호, 인구 891명, 간전(墾田)은 3,940결(모두 旱田)이었으며, 군사체제는 지군사(知郡事)가 길주도좌익병마(吉州道左翼兵馬)를 겸했고 군정(軍丁)은 익속군(翼屬軍) 257명, 수성군(守城軍) 9명이 있었다.
1437년에 진(鎭)을 두고 절제사를 파견했고, 1461년(세조 7)에는 군사상 중요한 곳이라 해 도호부로 승격시키는 동시에 본군에 속해 있던 삼수만호(三水萬戶)를 독립시켜 군으로 삼았다. 관원으로 종3품의 부사 1명과 종6품의 교수 1명을 두었다.
세조 때 정비된 진관체제하에서 갑산진은 영길남도(永吉南道)에 속했으며,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를 두어 부사가 겸임하게 했고, 또 혜산진에 병마첨절제사, 운총(雲寵)에 병마만호를 두었다. 1656년(효종 7) 각 도에 영장(營將)을 설치하게 되자 부사가 좌영장을 겸하게 되었고, 진동(鎭東)·동인(同仁)·혜산(惠山)·운총의 4진보(鎭堡) 아래에 단천군내의 황토기(黃土岐)·쌍청(雙靑)의 2보를 영유하기도 했으나 후에 2보는 혁파하였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아오지만호로 부임하던 중인 이 군의 무과 출신 박경태(朴慶泰)가 안성·죽산 등지에서 반란군을 물리치고 이인좌를 사로잡았다.
≪여지도서 輿地圖書≫에 따르면, 1759년(영조 35)에 방리(坊里)는 읍사(邑社)·허천사·호린사(呼麟社)·웅이사(熊耳社)·종포사(終浦社)·이리사(二里社)·회사(會社)·동인사·운총사·혜산사·별해사(別害社)·허린사(虛麟社)·별사(別社)·진동사의 14사에 호수 3,711호, 인구 1만6574명(남자 7,583명, 여자 8,991명)이었다.
또 한전(旱田)은 원전(元田) 1,226결 76부 7속과 속전(續田) 1,934결 68부 3속이 있고, 관직은 도호부사 종3품 1명, 좌수 1명, 별감 3명, 군관 100명, 아전 80명, 지인(知印) 20명, 군뢰(軍牢) 30명, 사령 90명, 관노비 126명, 교노비(校奴婢) 23명, 남녀무(男女巫) 16명 등이 있었다.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북관읍지 北關邑誌≫에 수록된 ≪갑산읍지≫에도 14사로 나오며 호수 3,745호, 인구 3만102명(남자 1만3721명, 여자 1만6381명)이고 전(田)은 2,684결로, 특히 인구가 크게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또 1894년에 편찬된 ≪관북읍지≫에 수록된 ≪갑산읍지≫에서는 호수 3,900호, 인구 3만432명으로 나오며, 사는 16사로 2사가 증가하고 명칭도 약간 변하였다. 전결은 원전 2,989결 20부, 화전 221결이었다.
[근대]
갑오개혁 이듬해(1895) 5월에 지방관제를 개혁해 종래의 도·목·부·군·현제를 폐지하고 부군제, 즉 23부 334군을 설치해 부에는 관찰사, 군에는 군수를 두었는데, 갑산은 부로서 그 밑에 갑산·삼수의 두 군을 두었다.
1896년에 다시 전국을 13도 1목 15부 337군으로 개편했을 때 갑산은 군으로 격하되어 함경남도에 속하게 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여러 차례의 개편을 통해 군세가 크게 축소되었다. 한말에는 홍범도(洪範圖)·차선도(車善道) 등이 갑산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해 많은 전과를 거두었으나, 응덕령전투(應德嶺戰鬪) 후에 근거지를 만주로 옮겼다.
1914년 3월에 전국적으로 부군제를 크게 개편할 때 풍산군이 신설되면서 이 군에서 천남(天南)·이인(里仁)·웅이(熊耳)의 3개 면이 풍산군에 편입되어 7개 면으로 줄었다가, 1934년 3월에 군행정조직이 변경되어 보혜면(普惠面)이 혜산읍과 보천면(普天面)으로 분리되어 1읍 7면이 되었다.
3·1운동 때인 1919년 3월 8일에는 천도교가 중심이 되어 200여 명이 천도교당에 모여 만세시위를 벌였으며, ≪한국독립운동지혈사≫에 따르면 집회횟수 4회, 집회인수 500명, 부상자수 38명, 투옥자수 50명이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김주형(金柱瀅)·김봉관(金鳳官) 등이 주재소를 습격하는 등 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1937년 8월에는 장평면(長平面)이 갑산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43년 3월에 혜산읍이 군으로 승격되면서 운흥면과 보천면이 혜산군에 이관됨으로써 이 군은 갑산면·진동면·산남면·회린면·동인면의 5개 면으로 축소되었다. 1944년 현재 호수 8,004호, 인구 4만442명(남자 2만3516명, 여자 2만2685명)이다.
이 고장의 대표적인 유적은 갑산읍 성터이다. 1413년(태종 13) 갑산부를 설치하면서 축성하기 시작해 1439년(세종 21)에 완공된 이 성은 갑산읍을 중심으로 둘레 1,000m, 높이 3.9m이다. 성곽에는 진북루·야상정·북승루·합구정 등의 문루가 있고, 읍성루·풍영루·영보대·수향루 등의 건물과 포루 15개, 치대(雉臺) 365개, 옹성 6개 등이 있어 견고한 북방 읍성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그 밖에 장평면 남부리에 장평산성(長平山城 : 석축, 길이 787.8m, 높이 2.7m), 동인면의 구진보(九津堡 : 길이 409.4m, 높이 2.4m), 진동보(鎭東堡 : 길이 392.4m, 높이 2.4m) 등의 성책이 있다. 사찰로는 장평면에 자복사(資福寺)가 있으며, 삼남면에는 이곳에 유배 온 인물들이 남긴 간의대(諫議臺)가 있다.
이 군은 산악지대로 주로 산촌을 형성하고 있으며, 화전민과 임업에 종사하는 목재상들이 많아 교육여건이 좋지 않았으나, 자녀교육에 대한 노력과 열성은 높았다.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갑산향교와 각 동리에 많은 서당이 있었다. 1933년의 조사에 따르면 62개의 서당과 2,004명의 학동(學童)이 있었다고 한다.
신교육기관으로는 회린·동인·진동·산남면에 설립된 공립보통학교와 민족교육을 위해 지방 유지들이 설립한 진동면 동점리의 보통학교, 노평리의 동명학교(東明學校), 판장학교(板章學校) 등의 사립학교가 있었다. 그 때 교육기관은 공립간이학교 5개교, 공립보통학교 9개교, 사립보통학교 3개교, 농림학교(중학과정) 1개교가 있었다.
또한 군민의 장학열이 높아 1921년에 갑산장학회가 설립되어 많은 청소년에게 외국 및 국내 유학비를 지급했으며, 1937년에 갑산공립농림학교 설립에 크게 기여하고 해산하였다. 갑산공립농림학교는 갑산농업보습학교의 후신으로 이리농림학교와 더불어 전국에 2개밖에 없는 농림학교로서, 고지대 특종영농법 및 축산 방면에 대한 연구와 교육에 힘썼다. 종교기관으로는 1933년 현재 불교사찰 1개, 개신교교회 7개가 있다.
설화로는 <석둥가리이야기>와 <열녀충주김씨이야기>가 많이 알려져 있다. <석둥가리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옛날에 어떤 남병사(南兵使)가 말을 타고 이 고을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몹시 바쁜 일이 있었던지 입덕문(立德門) 앞에 세워진 하마비를 무시하고 말을 탄 채 지나갔다.
이것을 본 정철량(程喆亮)이라는 향교 도유사(都有司)가 남병사의 뒤를 쫓아가 석둥가리에서 불문곡직하고 장검으로 그의 목을 친 뒤 시체를 세 토막내 버렸다. 석둥가리라는 지명은 세 토막이라는 말의 사투리가 변한 것이다.
<열녀충주김씨이야기>는 송계고개마루에 세워진 열녀문의 주인공 충주김씨의 열행에 대한 이야기이다. 조형벽이라는 사람의 아내 충주김씨는 효심이 두터워 시부모를 잘 봉양했으며, 시어머니가 중병으로 누웠을 때는 지성으로 간호하였다. 남편 조씨가 병을 얻자 단지(斷指)까지 했지만 조씨는 마침내 죽고 말았다.
남편을 여읜 김씨는 목욕은 물론 세수도 하지 않고 소복으로 삼년상을 치른 뒤, 남편의 대상 이튿날 남편의 뒤를 따라 허천강에 몸을 던져 자살하니 하늘이 비를 내리고 무지개가 죽은 곳을 비추었다. 사람들은 그의 시체를 인양해 정중히 안장하고 열녀로 추앙하였다. 어느 해 큰 가뭄이 들었을 때, 군수가 이 열녀묘에 제사를 올리고 비를 비니 단비가 내렸다는 말이 비문에 새겨져 있다.
민요로는 주변 여러 군들과 같이 고산지대에 위치해 산촌을 소재로 하거나, 벌목·채취에 관련된 노래가 많으며, 우렁차고 거센 가락이다. 이 밖에 타령류로 <풀무타령>·<날개타령>·<가갸노래> 등이 있다.
민속놀이로 가장 큰 축제는 시월상달에 벌이는 단군제였으나 지금은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이 고장의 산악지방에서는 해마다 정월과 7월 두 차례 동제로서 여제(厲祭)를 지낸다. 제단은 강변의 정결한 평지나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을 가려 돌을 쌓고 신단을 꾸미며, 주위의 노송을 신목으로 삼는다.
제수로는 대개 소나 돼지를 잡는데, 마을 공동으로 도살, 조리해 각 가정의 제상에 분배해서 진설한다. 각 가정에서는 따로 닭·생선·야채·떡 등의 음식을 푸짐하게 장만해 제상에 차려 놓는다. 제사의 소임에는 세 사람의 제관 외에 대축(大祝)·집사(執事)·집례(執禮) 들이 있는데, 제수를 장만하고 동제를 주관하는 이는 집사이다.
제사는 대개 일몰 후에 모신다. 제상 앞에 지패(紙牌)를 써 놓고 축을 읽는데, 대개는 우순풍조(雨順風調)해 백곡이 풍양하기를 비는 내용이다. 제사가 끝나면 간단한 주과로 제관과 어른들이 음복하고, 나머지 음식은 각자 집으로 가지고 돌아가서 친척을 초대해 함께 잔치를 벌인다.
주요 산업은 축산업·농산물가공업·임업·광업 등이다. 농업은 밭농사를 주로 하며 총농경지는 1936년 현재 2,726㏊로 경지율은 19.5%이다. 그 중 논이 84㏊, 밭이 2,642㏊로 논은 3%에 불과하며 밭이 97%나 차지한다.
따라서 쌀의 생산은 극히 적으며, 감자·귀리·조·콩·옥수수·메밀·대마 등의 밭작물이 주산물인데, 품질이 특히 우수해 감자·콩·메밀·대마 등을 원료로 녹말·간장·된장·고추장·메밀국수·삼베 등을 생산한다.
특산물로는 감자로 만든 녹말과 아마·호프·토종꿀이 유명하다. 또한 자연환경이 소를 기르는 데 적합해 소의 사육수가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고, 면양·돼지·닭 등도 많이 사육한다.
임업은 백두산을 중심으로 한 우리 나라 굴지의 삼림지대로 목재생산이 많았으나, 1943년 운흥면(雲興面)·진혜면(晉惠面)이 혜산군에 편입되어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광업은 진동면 동점리에 동점광산(일명 갑산동산)이 있어서 양질의 철과 구리가 생산된다. <吳洪晳>
상업활동은 갑산면 서부리에 갑산시장이 2·7일에 열리며, 회린면 북장리에 석우시장(石隅市場)이 3·8일에, 동인면 양교리에 양교시장이 4·9일에 개장된다. <金智勇>
도로망은 북청∼갑산, 성진∼혜산, 단천∼갑산, 삼수∼상리, 상리∼몌물리, 동인∼봉두리간 도로가 나 있어 혜산군·단천군·삼수군 등지와 연결된다.
[갑산면 甲山面]
군의 남부에 있는 면. 면적 257.02㎢, 인구 1만64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북부리이다. 1910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군회면(郡會面)·허천면(虛川面)·진동면의 일부를 병합하고 장평면이라 했다가, 1937년 갑산면이라 개칭하였다. 1,200m 내외의 고산고원지대로서 동부 면계에 천봉산(天鳳山, 1,406m), 북부에 석의봉(石衣峰, 1,556m)·운봉(雲峯, 1,637m), 서부에 증봉(甑峰, 1840m) 등이 솟아 있다.
허천강의 중류가 북서류하며, 진동천을 비롯한 군소 지류 유역에 곡저평야가 발달했고, 화전도 많다. 특히 허천강과의 합류지는 토지가 비옥해 논농사와 밭농사가 활발하다. 주요 농산물은 쌀·맥류 외에 조·옥수수·감자·메밀·아마 등이며, 목축과 양잠이 활발하고, 특히 목재의 생산이 많다. 성진∼혜산, 북청∼혜산간 국도가 지나 교통은 비교적 편리하다.
유적으로 1413년(태조 13) 허천현(虛川縣)이 승격되어 갑산군을 두었을 때 축성한 갑산성지(甲山城址)가 있으며, 남부리 장평산(長坪山)에 둘레 787m, 높이 2.73m의 여진성지가 있으나 오래되어 흔적만 남아 있다. 동부리에는 공자의 유덕을 숭배하는 능전사원(陵殿祠院)이 있어, 매년 봄에 유교에 뜻 있는 학자들이 모여 석전(釋奠)를 올린다.
북부(北部)·용림(龍林)·중평(仲坪)·쌍대(雙大)·부연(富淵)·대흥(大興)·동부(東部)·남부(南部)·서부(西部)·통상(通上)·동흥(東興)·부흥(富興)·부흥측(富興側)·사기(士起)·세동(細洞)·억년(億年)·고암(古巖)·장평(長坪)·통하(通下)·도하(都下)·도흥(都興)·도중(都中)·쌍소(雙小)·몽충(夢忠)·지경(地境)·대성(大盛)·입덕(笠德) 등 27개 이가 있다.
[동인면 同仁面]
군의 북동부에 있는 면. 면적 269.83㎢, 인구 1만3068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신흥리이다. 북쪽에 대덕산·희상봉(稀喪峯, 1,585m), 동쪽에 원봉(圓峯, 1,901m), 남쪽에 운봉 등의 고산준령이 경계를 이루고, 회린천이 서남부를 따라 흐른다. 주요 농산물은 밭농사 위주의 감자·귀리·옥수수·피·메밀·대마 등이며, 종포리에는 1,000m 이상의 고원에 화전을 개간해 원시적 영농으로 농산물을 생산하다.
동인∼봉두리간 도로가 개설됨에 따라 동인면 합정포리에서 혜산군 봉두리로 연결되어 교통이 비교적 편리하다. 유적으로는 유정리에 동인보(同仁堡)가 있다. 1657년(효종 8) 각 도에 영장을 창설할 때 갑산군에는 겸좌영장(兼左營將)을 두고, 동인보에는 권관(權官)을 두어 봉수 및 기타 병란에 대처하였다. 봉수는 함정포리에 있으며 둘레 829.9m, 높이 3m이다. 그러나 1928년경 동인보는 보천보(普川堡)로 이전되었다.
신흥(新興)·유정(柳亭)·어연(魚淵)·신창(新昌)·신풍(新豐)·사정(射亭)·연흥(連興)·소상(小上)·후양(厚暘)·성개(成開)·박달(朴達)·연풍(連豐)·풍산(豐山)·장동(壯洞)·중흥(中興)·내산(內山)·종포(終浦)·반교(泮橋)·구연(舊連)·연안(連安)·동서(東西)·대흥(大興)·외산(外山)·대상(大上)·잠동(岑洞)·창평(倉坪)·신성(新成)·함정포(含井浦) 등 28개 리가 있다.
[산남면 山南面]
군의 남서부에 있는 면. 면적 261.80㎢, 인구 6,10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상리이다. 1910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갑산군 허천면과 호린면(呼麟面)을 폐합하고 산남면이라 하였다. 북쪽 경계에 대덕산·희색봉이 솟아 있으며, 서쪽에는 진린령(陳麟嶺)·평린령(坪麟嶺, 1,196m), 남쪽에는 삼봉산(三峰山, 1,725m)이 솟아 있어 허천강의 상류는 좁은 골짜기를 이룬다.
면의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져 경사지를 이용한 감자·조·피·수수 등의 밭작물이 주요 농산물이며, 목재와 목탄의 생산이 많다. 북청∼갑산간의 도로가 평린령을 넘어 각 마을을 연결해 물자교류에 큰 몫을 했으나, 1932년에 길혜선(吉惠線)의 개통으로 교통량이 감소되었다. 유적으로는 용평리에 고려시대의 유물인 간의대가 있다.
상(上)·신성(新成)·어은(於隱)·은린(隱麟)·회복(會福)·중화(中和)·신흥(新興)·석우(石隅)·포치(浦淄)·유상(楡上)·유하(楡下)·상가림(上加林)·하가림(下加林)·동천(同遷)·단순(丹唇)·원봉(圓峰)·고소(古小)·풍양(豐陽)·용평(龍坪)·송우(送友)·시화(時化)·초평(草坪)·석막(石幕)·두림(杜林) 등 24개 리가 있다.
[진동면 鎭東面]
군의 동남부에 있는 면. 면적 322.71㎢, 인구 7,22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양유리이다. 면의 대부분이 1,300m 이상의 고산고원지대로 동북부에 활기봉(活基峰, 2,003m), 서부에 천봉산 등이 있으며, 허천강의 지류인 진동천이 동남부를 흐른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맥류 외에 조·옥수수·감자·귀리 등이 생산된다. 동점리에는 양질의 동·철광산으로 유명한 갑산동산(甲山銅山)이 있었으며, 채굴업이 활발했던 1910∼1921년에는 인구가 2만 명이나 되는 활기찬 곳이었다. 성진∼혜산간의 도로가 나 있어 이 면과 갑산간의 교통은 편리하다. 유적으로는 성후리에 군사요충지인 진동보가 있으며, 지금은 그 축성만 남아 있다.
양유(楊柳)·유포(楡浦)·창평(倉坪)·간진동(間鎭東)·신풍(新豐)·석우(石隅)·노평(蘆坪)·성후(城後)·신흥(新興)·연흥(蓮興)·노적(露積)·중(中)·건장(乾庄)·상(上)·은사평(隱士坪)·주막(周幕)·신양(新陽)·대복(大福)·동점(銅店)·내유포(內楡浦)·남대(南大) 등 21개 리가 있다.
[회린면 會麟面]
군의 북서부에 있는 면. 면적 286.98㎢, 인구 9,410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석우리이다. 1910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군회면·허린면(虛麟面)·신복면(新福面)을 병합하고 회린면이라 하였다.
동부의 동인면과의 경계에 운봉, 남부의 갑산면·산남면과의 경계에 대덕산·희색봉 등의 높은 산이 솟아 있으며, 동부에 봉수대(烽燧臺, 1,544m)·팔봉덕(八峯德, 1,072m)·백조봉(白鳥峰, 1,765m), 서부에 절덕산(節德山, 1,324m)·연두봉(蓮頭峰, 1,387m) 등의 고산이 많아 면의 대부분이 험준한 산지로 되어 있다.
허천강이 면의 중앙을 북서류해 교향리에서 회린천과 합류하며, 이곳에는 곡저평야(谷低平野)가 비교적 넓게 발달해 있다. 주요 농산물은 맥류·조·피·밀·모밀 등이며, 특히 호프·대마·아마 등의 재배가 활발하다. 북청∼혜산간의 도로가 허천강을 따라 지나 교통상 중요한 구실을 한다. 주민은 여러 성씨로 구성되어 있으나, 진주조씨(晉州趙氏)와 경주김씨가 비교적 큰 동족마을을 이룬다.
석우(石隅)·화장(化墻)·서당(書堂)·후지(厚地)·교항(橋項)·우상(尤上)·우하(尤下)·중포항(中浦項)·상포항(上浦項)·하포항(下浦項)·강초(姜草)·상(上)·남향(南向)·직동(直洞)·중흥상(中興上)·중흥하(中興下)·연풍(連豐)·대평(大坪)·용수(龍水)·송계(松溪)·진둔(榛屯)·이태(利泰)·삼포(三浦)·위계(渭溪)·장가(壯佳)·전기(田基)·천수(泉水)·하측(河側)·판장(板章)·중(中)·조양(朝陽)·중초(中草) 등 32개 리가 있다.
양강도 중심부에 있는 군. 동쪽은 함경남도 허천군, 서쪽은 삼수군, 남쪽은 풍서군과 함경남도 허천군, 북쪽은 혜산시와 운흥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05′∼128°44′, 북위 40°58′∼41°16′에 위치하며 면적 1,128㎢, 인구 7만30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1952년 12월 동인면 등 일부지역이 분리되어 운흥군과 보천군에 편입되었으며, 1954년 10월 함경남도에서 양강도로 소속이 바뀌었다.
행정구역은 갑산읍과 동점(銅店)·삼일(三一) 2개 노동자구, 사장(士庄)·창동(倉洞)·양흥(陽興)·평화(平和)·추풍(秋風)·남평(南坪)·임동(林洞)·삼봉(三峰)·사평(沙坪)·상흥(上興)·송암(松巖)·대중(大仲)·회린(會麟)·중천(中泉)·천성(泉盛)·금화(金化)·사동(四洞)·신정(新亭)·금풍(金豊)·창송(昌松) 등 20개 리로 되어 있다. 군 소재지는 갑산읍이다.
개마고원 중심부에 놓여 있는 분지지형으로, 평균높이는 해발 800∼1,000m이다. 군의 주위에는 칠반산(1,908m)·활기봉(2,004m)·동점령산(2,113m)·백세봉(1,911m)·희색봉(1,706m)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으며, 중심부를 허천강이 회림천·대동천 등 여러 지류와 합류해 북서방향으로 흐른다. 허천강 유역에는 하천들의 운반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충적지가 비교적 넓게 발달해 있다.
기반암은 마천령계의 편마암·결정편암과 중생대 화강암·현무암으로 되어 있다. 토양은 산악표백화 산림갈색토가 기본을 이루며, 허천강 기슭에는 논토양과 충적토양이 있다. 기후는 내륙분지로서 따뜻하고 건조한 편이다. 연평균기온 3℃, 1월 평균기온 -17℃, 8월 평균기온 19.5℃이며, 연평균강수량은 500∼550㎜이다. 첫서리는 9월 18일경, 마감서리는 5월 22일경에 내린다.
산림은 군면적의 83%를 차지하며, 이깔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사시나무·신갈나무·피나무·소나무 등이 있고, 산림에는 단너삼·오미자·당귀·고사리·도라지·버섯·머루·다래 등이 많다. 강·하천에는 열목이·버들치 등이 서식한다.
[산업·교통]
농경지는 군면적의 11%인데, 그 중 논이 10%이고 대부분이 밭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밀·옥수수·콩 등이며, 쌀은 허천강 하류 금화리에서 생산된다. 고지대의 특성을 띠고 있어 아마·호프·감자·보리·콩 등의 작물이 많이 생산된다. 축산은 소·양·토끼·염소 등 초식 가축을 기본으로 돼지·닭도 기르며, 밀원이 풍부해 꿀벌을 많이 친다.
허천강과 지류 하천은 농업용수·수력발전용수·뗏목수로로 이용되며 담수어 자원이 풍부하다. 송암종어장에서는 칠색송어를 양식한다. 임산물은 송암·추풍·동점·삼봉임산작업소를 중심으로 원목을 생산해 뗏목으로 허천강을 거쳐 압록강까지 운반된다.
이 군은 북한지역에서 제일 큰 동광매장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점노동자구에는 갑산동광산이 있다. 채굴된 동광은 삭도를 이용해 함경남도 검덕광산으로 운반된다. 공업은 식료품·수지·일용품·설비부속품·피복·아마섬유 등을 생산하는 소규모 지방공장들이 있다. 교통은 불편한 편으로 철도는 없고, 혜산시·단천시·풍서군으로 통하는 도로가 있다.
[교육·문화]
유적으로는 1413년(태종 13)에 축성한 갑산읍성터가 있는데, 남문은 진북루(鎭北樓)라고 한다. 임동리에는 간의대(諫議臺)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광업고등전문학교·농업고등전문학교·갑산고등중학교 외에 각급학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