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8년 평안남도 강서군 태성저수지 공사로 인한 수몰지역에 대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대동마을과 소동마을에서는 고구려시대 고분이 다량으로 조사되었고, 대동마을에서는 고인돌이 조사되었다.
대동고분은 떡국뫼의 기슭에 3∼4기, 6∼7기씩 떼를 지어 있는데, 평지에 단독으로 있기도 하며, 한 봉토(封土) 안에 두 개의 곽(槨)이 있는 것과 쌍분(雙墳)을 이루고 있는 것이 있다. 봉분이 남아 있는 것은 4∼5기에 불과하나 가장 큰 것은 높이 2.8m, 지름 11m이고, 가장 작은 것은 높이 1.25m, 지름 7m이다.
봉분 내부의 곽실의 방향은 대체로 남향이며 현실(玄室)의 평면은 장방형이고 약간 방형을 이룬 것도 있다. 연도(羨道)는 벽화고분인 제11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현실의 남벽에 치우쳐서 설치되었다.
현실의 천장은 굄식이 대부분으로 거의 평행 굄을 2∼3단 정도 내어 방형으로 공간을 좁힌 다음 그 위에 1∼2단의 삼각 굄을 올리고 천장을 덮었다. 현실의 바닥은 원토반을 다진 것과 회바닥을 한 것, 그리고 장방형의 판돌을 이 맞추어 짠 것, 주먹만한 막돌을 깐 것 등이 있다.
현실 내부시설에는 목관 또는 시체를 놓기 위한 관대가 있다. 출토유물은 인골·장신구류·이기류(利器類)·철제류·토제류·옥석류 등이 있다. 이 밖에 목관에 사용된 관대와 관못이 있다. 소동고분은 대동에서 서쪽으로 약 1㎞ 거리에 있다. 소동마을의 앞평지에 제2호 고분군과 뒷산의 경사지에 제1호 고분군이 분포되어 있다.
제1호 고분군은 모두 17기가 한 곳에 몰려 있는데, 두 개 이상의 곽이 한 봉분에 있는 것과 두개의 봉분이 인접한 쌍분이 있다. 현실의 방향은 대동고분과 같이 남향이 대부분이다. 현실의 평면은 장방형이 대부분이고 방형인 것은 4기에 불과하다. 네 벽은 대동고분과 같이 할석(割石)으로 쌓아올렸다.
현실의 천장결구는 대체로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① 평행 굄을 2단 정도 내고 바로 장방형 천장을 이룬 것, ② 삼각 굄을 한 단만 낸 후 바로 장방형의 천장을 이룬 것, ③ 평행 굄 1∼2단을 낸 다음 삼각 굄 한 단을 올린 것 등이다.
현실의 바닥은 특별한 시설이 없이 원토만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고, 일부는 회바닥에 판돌을 두 장 맞춰 깐 것이 있다. 연도는 대동고분과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소동고분에서는 현실바닥에 관대(棺臺)시설이 발견되지 않았다.
출토유물은 단지 철제관못·철제가위·작은 단지 1개가 있다. 대부분은 도굴로 인해 유물이 남아 있지 않다. 제2호 고분군은 평탄한 밭 가운데 남북으로 2열로 병행하여 5기가 분포되어 있다.
봉분의 크기는 보림리 유적 중에서 가장 크나 파괴로 인해 완전한 외곽규모를 확인할 수 없다. 현실의 평면은 모두 장방형이고 방향은 모두 남향이다. 천장형식은 제2호의 경우는 전형적인 굄식이고, 제1·3호는 평행 굄 3단을 내어 덮었다.
현실바닥은 제1호는 큰 판석을 두 장 맞춰 깐 위에 회를 발랐고, 제2호는 원토반 위에 회다짐을 하였다. 연도는 동쪽에 완전히 치우친 편이고, 현실 내부에는 아무런 시설도 없고, 출토유물은 관못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