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신성리 이여주 묘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대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무신 이여주의 무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대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무신 이여주의 무덤.
내용

1963년 건축공사 때 발굴되었다. 비문에 의하면 묘의 주인공은 이여주(李汝柱)로 1643년(인조 21)에 태어났는데,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안성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이정암(李廷馣)의 4대손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있다가 1705년(숙종 31년) 62세로 죽었다.

이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 중 우선 옷을 만든 천의 종류를 보면, 운문단(雲文緞)·대단(大緞)·공단(貢緞)·운문항라(雲文亢羅)·고사(庫紗)·명주(明紬) 등이 있다. 이들 천은 황토색·자색·목홍색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무늬는 구름무늬가 많다.

천의 너비는 비단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63㎝(2자)로서 당시의 사(紗)·나(羅)·단(緞) 등의 직조규격을 추측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출토된 각종 복식류를 보면 도포와 비슷한 중치막(큰 장옷·大氅衣)이다.

대창의와 비슷하지만 소매가 짧은 소창의(小氅衣), 두루마기, 소매가 없이 두루마기에 끼어 입는 전복(戰服), 치마처럼 허리 아래를 넓게 하고 잣주름을 달아 마치 소매가 넓은 저고리에 치마를 단 것과 같은 형태의 철릭[天翼], 근세에 남자들이 입은 조선바지와 형태가 꼭 같은 바지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상의 여러 종류의 의복을 통해 18세기 전후의 남자의복의 특징을 알 수 있다. ① 섶은 예외없이 오른쪽으로 여몄으며 고름은 짧고 좁다. ② 철릭은 계절에 관계없이 홑것이다. ③ 겉옷은 전부 발목까지 내려오거나 땅에 닿을 정도로 길며 소매는 넓다.

④ 속옷은 희며 겉옷은 전부 색깔이 있어 연한 황토색·자주색·목홍색이 대부분이다. ⑤ 창의는 전부 누비옷으로 누빈 솜씨가 오늘날 재봉틀에 의한 것처럼 매우 정교하다.

참고문헌

「신성리 무덤에서 나온 민속자료」(허정근, 『고고민속』 1965년 2호, 사회과학원출판사)
집필자
이형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