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부근리 점골 지석묘 ( 점골 )

목차
관련 정보
강화 부근리 점골 지석묘 정측면
강화 부근리 점골 지석묘 정측면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북방식 고인돌. 지석묘.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강화 부근리 점골 고인돌(江華 富近里 점골 고인돌)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기념물(1995년 03월 02일 지정)
소재지
인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743-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북방식 고인돌. 지석묘.
개설

1995년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기. 강화읍에서 송해면과 하점면 경계지점을 지나 부근리-망월간 도로 중간지점쯤의 콩밭에 있다. 장대한 북방식(탁자식) 고인돌이다.

내용

이 고인돌이 있는 능선은 고려산 북쪽에서 흘러내린 주능선 끝자락의 해발 15m 정도 낮은 대지이다.

이 고인돌은 『한국지석묘연구』에 의해 처음 알려졌다. 이 책에는 사진 한 장과 함께 “삼거리어구 소재”라는 간단한 설명문만 있다. 그러나 실제 지적도에 보이는 행정구역상으로는 삼거리가 아니라 하점면 부근리이다. 비교적 잘 남아 있는 이 고인돌에 대해서 아직까지 상세한 보고서와 실측도가 없었는데 1991년에 처음으로 측량조사가 실시되어 고인돌의 규모와 형식이 자세히 밝혀지게 되었다.

지금은 대형 덮개돌이 눌러 내리면서 고임돌[支石]을 약간 기울게 만들었다. 그러나 북방식 고인돌로서의 구조와 형태는 충분히 알아볼 수 있다. 특히, 동서장축의 고임돌이 잘 남아 있고, 그 중에서도 서쪽 고임돌이 양호하다. 그리고 장축의 고임돌을 남북에서 마감한 마감돌이 쓰러진 상태로 남아 있어 강화도 내 북방식 고인돌(1964년 사적으로 지정된 강화 부근리 지석묘의 예)의 구조와 형태를 파악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고임돌의 장축(서쪽)의 방향은 거의 편북(10°)으로 놓여 있다. 서쪽 고임돌의 크기는 길이 2.55m이고, 너비(실제로 높이에 해당) 1.55m이며, 두께는 가장 두꺼운 곳이 0.50m이다. 지금은 약 50° 안으로 기울어져 있다. 동쪽 고임돌의 크기는 길이가 2.55m로 서쪽 고임돌의 길이와 같으나 두께는 0.40m이고, 너비(높이)는 덮개돌에 가려있어 잘 알 수 없다. 북쪽으로는 마감돌로 사용한 판석이 눕혀 있으며, 크기는 길이 1.60m, 너비 0.85m, 두께 0.22m이다. 그러나 남쪽에는 마감돌이 덮개돌에 눌려 보이지 않는다.

덮개돌의 크기는 남북장축의 최대 길이 4.28m이고, 최대 너비 3.70m이며, 최대 두께 0.65m이다. 고인돌의 전체 높이는 1.85m이다. 고인돌에 사용된 석재는 모두 흑운모편마암이다. 점골 고인돌의 전체적인 구조는 고임돌과 마감돌로 무덤방을 짜맞춘 형태의 전형적인 북방식(탁자식) 고인돌이다.

참고문헌

『강화도 고인돌무덤(지석묘)조사연구』(이형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집필자
이형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