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1967년 국립박물관 고적조사보고 제6책으로 나왔다. 필자들은 경기도 파주 옥석리 유적· 파주 교하리 유적, 강화 삼거리 유적 등을 비롯한 남한 12개 지역에서 총 60여 기의 고인돌을 발굴해 고인돌의 형식과 선사시대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이들은 발굴조사를 통해 남방식 고인돌을 두 가지로 나누었다. 하나는 덮개돌[上石]과 그 밑에 굄돌[支石]이 없는 형식이고, 다른 하나는 덮개돌 밑에 굄돌이 있고 지하의 돌방[石室]에 따로 뚜껑돌[蓋石]이 있는 형식이다.
또한 남방식 고인돌은 원래부터 1인1돌방[一人一石室]이며 덮개돌이 없는 것은 후대에 인위적으로 파괴된 것으로 보았다. 지하 돌방은 판석(版石) 또는 목판 등으로 반드시 뚜껑을 하였고, 지하에 아무 구조가 없는 것은 구덩이[土壙]가 아니라 돌방이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고인돌의 돌방들 중에는 굽혀묻기[屈葬]도 불가능할 만큼 작은 규모가 많음을 예로 들어 세골장(洗骨葬)같은 이차장(二次葬)이 행해졌을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남방식 고인돌은 중부 이북지방에서 발생했으며, 인천 · 수원 · 용인을 연결하는 이남에서는 북방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못박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이 고인돌의 연구를 통해 고인돌문화가 동검문화(銅劍文化)보다 연대적으로 앞서며, 남방식 고인돌은 서기전 2세기 이전까지는 소멸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