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동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차장과 비밀항일결사인 대동단의 단장 등으로 활동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강석룡(姜錫龍)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9년(고종 26)
사망 연도
1946년
출생지
함경남도 이원
관련 사건
105인 사건|3·1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무차장과 비밀항일결사인 대동단의 단장 등으로 활동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개설

일명 강석룡(姜錫龍). 함경남도 이원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1911년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김구(金九) 등과 같이 붙잡혀 황해도 해주형무소에서 복역한 바 있으며, 향리에서 3·1운동을 주동하여 고문을 받은 바 있다.

이어 강태동은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로 가서 독립운동대열에 주도적으로 가담, 내무차장이 되었다.

상해에 와 있던 원로고문 김가진(金嘉鎭)을 설득, 비밀항일결사인 대동단(大同團)의 단장으로 취임하도록 적극 주선하였으며, 자신도 비밀대동단원으로 국내외를 연결 왕래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安昌浩)의 밀서를 받아가지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연락원 이종욱(李鍾郁)과 같이 은밀히 입국하여 대동단의 전협(全協)에게 전달하였다. 이때 띠고 온 사명은 의친왕(義親王: 李堈)을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로 모셔가는 것이었다.

의친왕을 상해로 탈출시키는 데 있어서 김춘기(金春基)와 같이 한때 정남용(鄭南用)·김중옥(金中玉)·나창헌(羅昌憲)·이을규(李乙奎)와 마찰을 일으켰다. 이로 인하여 전협일행으로부터 결박을 당해 갇히기도 하였다.

의친왕은 1919년 11월 9일 이천만동포에게 보낼 유고문(諭告文)을 집필하고 수색역에서 상복으로 위장 경의선 철도를 이용, 안동으로 가던 도중, 신의주에서 체포되어 실패하고 말았다.

이에 전협·한기동(韓基東)·송세호(宋世浩)·이신애(李信愛)·이을규 등과 같이 1920년 1월을 전후로 체포, 실형을 선고받았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백범일지(白凡逸志)』
『3·1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법통성』(이현희, 동방도서, 1987)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이현희, 집문당, 1982)
『대동단실기』(신복룡, 양영각, 1982)
『조선독립운동』Ⅰ(김정명 편, 원서방, 1967)
「대동단예심결정서(大同團豫審決定書)」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