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고양이의 구슬 다툼은 개와 고양이가 주인의 잃어버린 구슬을 되찾는 이야기이다. 어느 노인 부부가 잉어를 놓아주고 보배 구슬을 얻었는데 이를 잃어버렸다. 그 집의 개와 고양이가 구슬을 되찾아서 주인의 은혜를 갚고자 하였다. 개와 고양이가 구슬을 찾아서 돌아오는데 고양이가 구슬을 물에 빠뜨렸다. 면목이 없어진 고양이가 다시 구슬을 찾아서 가져왔다. 이에 주인은 고양이만 우대하고 개는 집 밖에 거처하게 했다. 이후 개와 고양이의 사이가 바빠지게 되었다는 설화이다. 이 설화는 동물의 유래담이나 동물의 보은담 유형으로 전승되고 있다.
동물유래담에 속하며, 동물의 보은담적 성격도 매우 강하다. ‘개와 고양이의 사이가 나빠지게 된 유래’, ‘견묘쟁주(犬猫爭珠)’, ‘견묘보주탈환(犬猫寶珠奪還)’이라고도 불리며, 전국적으로 널리 구전되고 있다.
옛날 어느 바닷가에 늙은 부부가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잇고 있었다. 어느 날 노인이 큰 잉어를 잡게 되었는데, 잉어가 눈물을 흘리는 것을 보고 가엾어서 놓아주었다. 다음날 노인이 바다에 가니, 한 소년이 나타나 용왕의 아들이라고 하며 어제의 은혜에 감사하면서 그를 용궁으로 초대하였다. 용왕의 융숭한 대접을 받고 보배 구슬을 얻어 돌아온 뒤, 노인 부부는 큰 부자가 되었다. 이후 그 소식을 들은 이웃 마을 노파가 속임수를 써서 구슬을 가져가 노인의 집은 다시 가난해졌다.
늙은 부부의 집에서 기르던 개와 고양이는 주인의 은혜를 갚고자 이웃 마을에 있는 노파의 집으로 찾아갔다. 둘은 노파의 집에 있던 쥐왕을 위협하여 구슬을 되찾았다. 돌아오던 중에 강을 건너게 되었다. 개는 헤엄을 치고 고양이는 등에 업혀 구슬을 물고 있었다. 개가 구슬을 잘 간수하고 있느냐고 자꾸 묻자 고양이는 대답하다가 구슬을 물에 빠뜨렸다. 그 책임을 서로 다투다가 개는 혼자서 집으로 돌아갔다. 면목이 없어진 고양이는 강 건너편에서 물고기를 얻어먹다가 그 속에서 구슬을 찾게 되어 주인에게 가져다주었다. 주인은 고양이를 우대하고 개를 집 밖에 거처하게 하고 박대하였는데, 그 뒤부터 둘의 사이가 나빠지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는 잉어를 살려주고 구슬을 얻었다는 것과 개와 고양이의 구슬 다툼이라는 두 개의 이야기가 결합되어 있다. 전반부인 구슬 획득 과정은 각 편에 따라 전혀 다른 이야기로 나타난다. 잉어(또는 자라)로 변신하였던 용왕의 아들이 보은하는 ‘방리득보(放鯉得寶)’형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복수하려는 이시미(이무기)를 아내가 지혜로 물리치는 ‘꿩과 이시미’유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각 편에 따라서 그 과정이 생략되어 있기도 하다. 용궁에서 받은 보물도 구슬 또는 여의주 · 연적으로 변이되며, ‘꿩과 이시미’가 결합된 각 편에서는 네모 또는 세모난 구슬로 구체화된다. 구슬을 가져가는 대상도 방물장수나 친구로 변이되며, 그들이 구슬을 바꿔치기 하거나 빌려 갔다가 돌려주지 않는 것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각 편에 따라서 개와 고양이 사이가 나빠진 유래를 생략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 설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북미 · 남미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 이 설화는 전체적으로 ‘방리득보’와 ‘견묘쟁주’의 결합형과, ‘꿩과 이시미’와 ‘견묘쟁주’의 결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의 변이는 이 설화가 동물유래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보여 주는 예가 된다. 앞의 것은 두 개의 보은담이 연속된 것으로서, 고난의 해결이 동물의 보은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뒤의 것은 의외의 고난 상황을 인간의 지혜로 타개하는 적극적인 변모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뒤의 이야기형은 앞의 이야기형보다 후대의 것으로 보인다. 이 설화는 동일 유형 속에서 인간의식의 변모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