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 한 알로 장가든 총각 (좁쌀 한 알로 장가든 )

목차
구비문학
작품
과거를 보러 가는 젊은이가 좁쌀 한 알로 점점 이득을 보는 교환을 하여 성공한다는 내용의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과거를 보러 가는 젊은이가 좁쌀 한 알로 점점 이득을 보는 교환을 하여 성공한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형식담(形式譚)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누적적형식담(累積的形式譚)에 속한다. 즉, 한 행위가 원인이 되어 다음 행위가 생기는 결과가 계속되어, 끝 결과는 가장 큰 기대를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누적되는 형식을 지닌 설화이다.

그러므로 이런 형식에서는 중간의 어느 사건(행위)을 빼면 이야기가 성립되지 않으며, 반복의 묘미를 살려 형식 자체의 흥미를 큰 효과로 삼는다. 「새끼서발설화」 유형과 같은 계열이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느 젊은이가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서 좁쌀 한 알을 주막에 맡기면서 이건 소중한 것이니 잘 간수하였다가 달라고 일렀다. 이튿날 아침 “좁쌀은?”하고 물으니, 주막집 주인은 엊저녁에 쥐가 먹어 버렸다고 하므로 그 쥐를 잡아 달라 하였다.

주인은 할 수 없이 쥐 한 마리를 잡아 주었다. 다음 주막에 가서 이건 소중한 것이니 잘 간수하였다가 달라고 일렀다. 이튿날 아침 주인은 고양이가 그 쥐를 잡아먹었다 하므로 그 고양이를 잡아 달라 하였다.

셋째 주막에서는 말에 채어 고양이가 죽었다 하므로 그 말을 달라 하여 말을 끌고 서울 가까운 주막에 들었다. 이튿날 주인은 간밤에 그 말이 소와 싸우다가 죽었다 하므로 그 소를 달라 하여, 그 소를 끌고 가 장안의 주막에 맡겼다.

이튿날 주인이 아들 녀석이 그 소를 잘못하여 어느 정승 집에 팔아 버렸다 하므로 그럼 그 정승을 끌고 오라고 하였다. 주인은 정승에게 가서 찾아온 내력을 말하였다.

정승은 “나를 끌고 오라니 별난 놈 다 보았다. 이리 데려오라.” 하여 젊은이를 불러들였다. 젊은이는 정승 앞에 나아가 소를 내놓으라고 하였는데, 벌써 잡아먹었다고 대답하자 그럼 먹은 자를 내놓으라고 하였다. 정승은 그 기백에 감동하여 그의 딸을 젊은이에게 주었다.

이 설화는 범세계적인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동양에서는 일본을 비롯하여 인도·필리핀 등에, 유럽에서는 프랑스·불가리아·잉글랜드 등에서 보고된 바가 있다. 특히, 인도의 경우 이미 『자타카(Jātaka)』에 제1화로서 책머리에 수록된 점으로 미루어보아, 이 계열의 원형이 아닌가 의심이 간다.

한편, 유럽의 경우는 유별나게 대단원을 비극적으로 마무리짓기도 한다(프랑스·불가리아). 이 계열의 필리핀 설화는 후반에 가서 거래 모티브(J2081)로 전락하기도 하는데, 이는 유럽으로부터의 영향이 아닌가 여겨지기도 한다.

어쨌든, 이 설화는 최소의 희생으로 최대의 효과를 바라는 부귀영화에 대한 동경심 같은 것이 가장 소박한 원초적인 사고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이라 믿어진다.

참고문헌

『한일민요의 비교연구』(성기설, 일조각, 1979)
『インド古代民謠集』(松村武雄 譯, 現代思想社, 1977)
『朝鮮鮮の民話』(孫晉泰, 岩崎美術社, 197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