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물은 1939년 매장문화재(현, 매장유산)로 신고된 것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종류는 요령식 동검 1점, 청동제 손칼 1점, 꾸밈구슬 1점, 돌도끼 1점이다.
요령식 동검은 길이 26㎝로 칼끝과 날쪽의 굽은 각이 전형적인 요령식 동검보다 세장(細長)되어 있는 형식이다. 등대의 날은 중앙보다 4㎝ 정도 밑까지 갈았고 돌기(突起)가 있는 곳의 등날이 약간 높게 만들어져 있다.
흔히 우리 나라에서 출토되는 요령식 동검은 슴베에 홈이 파여 있는데, 이 동검에는 홈이 없어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 동검은 청동기시대의 한반도와 중국 요령지방간의 문화교류관계를 밝히는 좋은 자료이며, 한국식 동검의 기원을 밝히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청동제 손칼은 길이 13.8㎝, 너비 2.3㎝이며 자루의 날 쪽에는 나무나 뼈로 만든 자루를 끼기 위한 두 개의 돌기가 있고 칼 끝은 위로 약간 꺾여 있는 모습이다. 홀거푸집〔單範〕으로 매우 거칠게 주조되었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돌기 달린 손칼로는 유일한 예이나,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간혹 출토되고 있다.
꾸밈구슬은 천하석제(天河石製)로서 길이 4㎝, 너비 2.6㎝이다. 가운데가 약간 볼록한 반원형 돌의 위 아래에 작은 구멍이 한 개씩 뚫려 있다. 이 같은 형태의 꾸밈구슬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 충청남도 아산군 백암리에서 출토된 적이 있다. 돌도끼는 사암제(砂岩製)로 길이 11.9㎝, 너비 6㎝이며 단면 타원형 조개날〔蛤刃〕돌도끼이다.
이 일괄유물들, 특히 요령식 동검과 청동제 손칼은 우리 나라 청동기의 계보와 유입경로 및 그 연대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즉, 우리 나라의 청동기문화는 중국 동북지방 청동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태동하였고, 이 후 자체 발전하여 한국식 동검문화를 완성한 것이 밝혀졌다.
이 유물들의 연대는 중국에서 출토된 청동유물과 우리 나라의 한국식 동검의 연대와 비교해볼 때 서기전 5세기 말에서 서기전 4세기 초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