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기궁 ()

한문학
작품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한시.
정의
고려 중기에 김부식(金富軾)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오언고시로 『동문선』 권4에 전한다. 서경천도(西京遷都)와 대화궁(大花宮)의 창건을 풍자한 뜻이 함축되어 있다.

내용

서경천도와 대화궁 창건계획은 묘청(妙淸)의 음모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묘청은 서경의 임원역(林原驛)에 대화세(大花勢)가 있으니 대화궁을 지으면 천하를 통일할 수 있다고 하여 인종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였다.

그러나 김부식은 묘청의 음모를 알고 천도계획을 저지시키는 데 앞장섰다. 이 시는 김부식의 이러한 심정이 잘 부각되어 있다.

“요임금의 뜰은 낮기가 석자이련만/천년이나 그 덕을 남겼고/진시황의 성은 만리나 되나/이대 만에 나라를 잃었으니/고금의 역사 가운데/참으로 본보기가 될 만하다/수나라 양제는 어이 생각지 못하고/토목공사로 백성들의 힘 빼었던고(堯階三尺卑 千載餘其德 秦城萬里長 二世失其國 古今靑史中 可以學觀式 隋皇何不思 土木竭人力).”

의의와 평가

내용은 국왕이란 백성을 헤아려서 선정을 베풀면 후세에까지 칭송을 받지만, 백성들을 괴롭히면 곧 망한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대화궁의 창건을 당장 중지해야 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시는 토목 공사의 잘못을 꼬집는 일종의 풍자시이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김부식론」(최신호, 『한국문학작가론』, 현대문학사, 199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