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려문 ()

목차
관련 정보
문선
문선
한문학
개념
4언구와 6언구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만으로 문장을 구성한 한문문체. 사륙문.
이칭
이칭
사륙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변려문은 4언구와 6언구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만으로 문장을 구성하는 한문 문체이다. 또한 변려문은 전고를 사용하여 문장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이 특징이다. 남조 시대 소통이 편찬한 『문선』은 변려문체의 교본으로서 중국과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끼쳤다. 변려문은 육조의 말기부터 서사나 서경 묘사에는 적합하지만, 뜻을 전달하거나 논리를 전달하는 문장에는 적합하지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라말 최치원은 『계원필경집』 등에 변려문을 남겼다. 변려문은 고려 중기까지 유행하였다. 이후 한유, 구양수, 소식 등의 당송 문학을 배우면서 고문 운동이 일어났다.

목차
정의
4언구와 6언구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만으로 문장을 구성한 한문문체. 사륙문.
내용

변려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대구를 존중했다. 이것은 한문에 흔히 있는 일이다. 그렇지만 변려문에는 특별히 대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둘째는 넉 자 또는 여섯 자의 구(句)를 많이 쓴다. 한문에는 원래 넉 자 · 여섯 자로 된 구가 많다. 그렇지만, 변려문에는 의식적으로 이것을 구사한 것이 특징이다. 셋째는 평측(平仄)과 압운(押韻)을 존중한다. 넷째는 음조의 아름다움을 살린다. 다섯째는 전고(典故) 사용을 존중한다. 이렇게 해서 화려한 미문의식을 높이는 것이 변려문의 총체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변려문의 예로서 「등왕각서(滕王閣序)」를 들 수 있다. “南昌故郡 洪都新府 星分翼軫 地按衡廬 襟三江而帶五湖 控蠻荊而引甌越(남창고군 홍도신부 성분익진 지안형로 금삼강이대오호 공만형이인구월) ……”과 같이 질서정연한 대와 자수가 정비되어 있다.

변려문의 역사를 따지면 옛날로 소급할 수 있다. 상대(上代)의 문장은 모두 고문이다. 그 중에는 음조(音調)를 좋게 하고 뜻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숙어나 대구를 인용한 것이 있다. 『역경』의 「문언전(文言傳)」, 『서경』의 「전모(典謨)」, 『서경』의 「대서(大序)」, 그리고 『초사(楚辭)』에서도 많은 대를 찾아볼 수 있다. 진(秦)나라의 이사(李斯)가 쓴 「간축객서(諫逐客書)」에도 변려문의 솜씨가 보인다. 이러한 흐름들은 한(漢)나라에 들어오면 부(賦)의 발달로 인해서 더욱 촉진되었다.

전한 때 매승(枚乘) · 사마상여(司馬相如) · 양웅(楊雄) 등이 유명했고, 후한에서는 반고(班固)가 유명했다. 이러한 발달을 거쳐서 위나라 조비(曹丕)의 「여오질서(與吳質書)」에 이르면 변려문으로서의 기틀이 잡히게 되며 이것이 남조에 이르면 변려문은 극성기를 이룬다.

진(陳)나라의 서릉(徐陵) · 유신(庾信)의 서유체(徐庾體)에 이르게 되면 변려문의 모범을 드리우게 된다. 남조시대에서 특별히 언급해 둘 것은 소통(蕭統)이 편수한 『문선(文選)』이다. 이 책은 과거의 변려적 형태를 띤 작품들을 집대성한 것이기 때문이다. 『문선』은 한국과 중국을 막론하고 변려문체의 교본으로서 오랫동안 군림해 왔다.

이러한 변려문이 당나라 · 송나라에 이르게 되면 전려장중(典麗莊重)하며 산문의 경향이 농후해진다. 원 · 명나라에 이르러서는 쇠퇴했으나 청나라에 와서 다시 성행하였다.

중국의 변려문은 고문의 성쇠와 밀접한 함수관계를 가진다. 양자 사이에 그 성쇠가 엇바뀌면서 발달해왔기 때문이다. 고문은 선진(先秦)시대의 작품들을 대표로 꼽는다. 『맹자』 · 『장자』 · 『한비자』 · 『좌전』 · 『국어』 · 『사기』 등이 모두 고문의 명문(名文)들이다.

고문은 남북조의 제(齊) · 량(梁)간에 이르러 그 세가 꺾이고 변려문의 융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육조의 말기부터 변려문은 비판을 받게 되었다. 서사(敍事)서경(敍景)의 문에는 적합하지만, 달의(達意)나 논리의론의 문에는 적합하지가 않다는 것이다.

당나라에 이르게 되면서 고문운동이 더욱 고조되었다. 특히, 한유(韓愈)는 공맹(孔孟)의 후계자로 자처하고 유교를 배경으로 하여 논문체의 고문을 많이 지었다. 친구 유종원(柳宗元)도 한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송대에 오게 되면 구양수(歐陽脩)가 고문의 장점을 인식하고 고문을 고취하였다. 고문운동은 증공(曾鞏) · 왕안석(王安石) · 소식(蘇軾) · 소철(蘇轍) 등의 대가의 등장으로 지위가 확고해졌다. 이러한 전통은 원 · 명 나라에 이어져서 당순지(唐順之) · 귀유광(歸有光) · 모곤(茅坤) 등에 의해서 유지되었다. 청대에는 방포(方苞) 등의 동성파(桐城派)의 세력이 일대를 휩쓸었다.

중국의 변려문과 고문의 굴곡이 우리 나라의 문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에서처럼 변려문의 운동이나 고문운동을 두드러지게 특징지을 만한 것은 없었다. 그래도 암암리에 중국의 영향을 입었던 것은 사실이다.

상대(上代)의 한문 학습의 실상을 보면 고문과 변려문을 함께 병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68년의 강수조(强首條)의 기록을 보면 강수가 『효경』 · 『곡례』 · 『이아(爾雅)』 · 『문선』을 배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구당서(舊唐書)』의 고구려조를 보면, 『시』 · 『서』 · 『역』 · 『예기』 · 『춘추』 · 『사기』 · 『한서』 · 『후한서』 · 『문선』 등을 고구려 경당(扃堂)에서 강론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신라에서도 『춘추좌씨전』 · 『곡례』 · 『논어』 · 『효경』 · 『사기』 · 『한서』 · 『후한서』 · 『문선』 등을 통해서 인재를 발탁했음이 드러나 있다. 여기서 경전이나 사서(史書) 같은 글은 고문이 위주가 되고, 『문선』은 사륙변문이 위주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는 7세기 이전에 벌써 고문과 변려문을 습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삼국사기』 속에 얼마간 보인 삼국시대 표문(表文)들을 보면 변려문으로 쓴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변려문의 화려한 솜씨는 신라말 최치원(崔致遠)이 종횡무진한 솜씨로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 『중산복궤집(中山覆匱集)』 · 『사륙집』 등을 남겼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계원필경집』과 『동문선』에 약간의 시문이 전한다. 그러나 『계원필경집』만 보아도 최치원의 변려문 솜씨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만하다. 최치원의 이러한 솜씨는 아마도 변려문이 성황을 이루었던 만당(晩唐) 시기에 유학을 했던 덕분일 것이다.

변려문의 여세는 고려 광종 때까지도 여전히 유행하였다. 이것은 신라 말의 문풍(文風)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신라 말의 학자들이 고려 건국 이후에도 그대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문선문학(文選文學)의 영향도 그대로 상존하고 있었다.

고려 중기에는 변려문이 비판되고 고문이 숭상되었다. 그 이유로는 고려 중기에 오면서 문선문학을 버리고 당송문학을 배우게 되었다는 것에 있을 것이다. 고려 문단에 가장 영향을 끼친 인물로는 한유 · 구양수 · 소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고문운동의 주역이자 대가였던 것이다.

고려 중기 이후에 고문이 숭상되었다고 해서 변려문이 자취를 감춘 것은 아니었다. 여전히 과거의 문장이나 외교문서 · 주소류(奏疏類) · 조령류(詔令類) 같은 문장은 의례적으로 변려문을 썼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서 논변류 · 서독류(書牘類) · 서발류(序跋類) · 증서류(贈序類) · 잡기류 · 패설류와 같은 문예문은 일반적으로 고문을 썼던 것이다. 고려 일대의 문집을 일별해 보면 그러한 사정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조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문예사조적으로 보면, 조선 초기에는 재도론(載道論)에 바탕한 문학론이 대두되었다. 18세기에 이르게 되면 육경(六經)을 바탕한 고문운동이 야기된다. 그렇지만 고문이 변려문과 대립되어 특별한 논쟁거리로 부각되지는 못했다. 고려에서와 마찬가지로 과거지문과 외교 문서 그리고 주소류나 조령류 같은 실용문은 여전히 변려문으로 썼던 것이 관례로 되어 있었고, 기타의 문예문들은 고문으로 채워진 것이 실상이었다.

참고문헌

『문체명변(文體明辯)』(서사증)
『중국문학개론』(김학주, 신아사, 1977)
『한국한문학사』(이가원, 민중서관, 197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