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춘일유감 ()

목차
관련 정보
동문선(권12) / 장안춘일유감
동문선(권12) / 장안춘일유감
한문학
작품
신라 말기 헌강왕 때 최광유(崔匡裕)가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말기 헌강왕 때 최광유(崔匡裕)가 지은 한시.
내용

신라 말기 헌강왕 때 최광유(崔匡裕)가 지은 한시. 칠언율시 10수로, 『동문선』·『명현십초시(名賢十抄詩)』 등에 전한다. 최광유에 대해서는 최치원(崔致遠)과 같은 시대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였다는 것과 이 작품 외에는 다른 자료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 작품은 진사제(進士第)에 합격하기 이전에 당나라 서울 장안에서의 봄날 느낌을 서정화한 것이다. 장안에 봄이 돌아와 꽃들이 곱게 피고 푸른 버드나무에 꾀꼬리가 우는 호시절인데, 시인은 대조적으로 형설의 뜻을 이루지 못해 지치고 피곤하여 나날이 늙어가고 있다고 하면서 과거급제의 어려움, 그 각고와 고민을 표출하고 있다.

시풍은 만당풍(晩唐風)의 영향을 받은 듯, 기상이 모자라고 애상적인 맛이 짙다. 당시까지 오언시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신라 말기에 와서야 칠언시가 보이기 시작한다. 이 시는 그 당시의 칠언율시라는 데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신라말빈공제자(賓貢諸子)의 시(詩)에 관하여」(이혜순, 『한국한문학연구』 7,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