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동대학교 ()

단체
경기도 양주시, 강원도 원주시, 강원도 고성군에 각각의 캠퍼스를 두고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목차
정의
경기도 양주시, 강원도 원주시, 강원도 고성군에 각각의 캠퍼스를 두고 있는 사립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1997년 3월에 우당(祐堂) 전재욱(全載旭)에 의하여 개교하였다.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아래 대한민국 민주공민으로서 충(忠)·효(孝)·인(仁)·경(敬),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인륜대도(人倫大道)와 수신치심(修身治心)의 자질을 구유케하며, 국가발전과 민족중흥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 배출하기 위하여 설립한다’를 건학이념으로 ‘창조·자율·봉사’를 교훈으로 삼고 있다.

교육목표는 지(智)·덕(德)·체(體)의 종합적 수련을 통한 전인교육, 건전한 정서와 인격체를 지향한 인성교육, 정보능력과 과학기술적 전문인 양성의 과학교육, 참여와 의무를 이행하는 시민교육에 두고 있다.

교기와 교표는 펜과 방패형의 외형을 취하여 진리탐구와 민족의 역군을 상징화하고 내부 글자는 대학, 동해, 태극기의 형상을 이루게 하여 원대한 인간과 꿈을 담았다. 상징 색상은 녹색과 흰색으로 풍요와 도약, 민족정서, 그린캠퍼스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학부구성은 공학부와 인문사회학부 2개 학부 내에 각각 건축설계디자인공학·실내건축공학·토목설계공학·정보공학전공과·관광경영학·경영정보학전공을 개설하여 1997년 3월 공학부 300명, 인문사회학부 100명 총 400명 정원으로 출발하였다.

1998년 정원자율화대학으로 선정되어 건설공학부 내 건축시스템공학전공과 우리나라 최초로 건축경영학전공을 신설하고 정보통신공학부 내에 정보통신공학전공과 컴퓨터공학전공을 두었으며, 인문사회학부는 관광 및 경영학부로 개칭, 관광통역학을 신설하였다.

이 해에 야간학부를 개설하여 주간 800명, 야간 300명 총 1,100명의 입학정원으로 확대하였다.

2009년 7월 교육부로부터 의료보건계 학과(간호, 물리치료, 응급구조, 임상병리 등) 신설을 승인받았다. 2011년 5월에는 경기도 양주캠퍼스 일부 이전을 위한 위치변경 계획승인을 받았다. 2012년 2월 경동대학교와 동우대학 간 통합합의서를 체결함에 따라 같은 해 6월 교육부로부터 통합 승인을 받았다.

현황

2013년 3월 1일 통합 경동대학교가 개교하였다. 경동대학교는 메트로폴(Metropol) 캠퍼스(경기도 양주), 메디컬(Medical) 캠퍼스(원주문막), 글로벌(Global) 캠퍼스(고성), 글로벌(Global) 캠퍼스(속초)로 나뉘어 있다.

2015년도 기준 메트로폴 캠퍼스(경기도 양주)는 5개학과(유아교육과, 스포츠마케팅학과, 건축디자인학과, 토목공학과, 디자인학과), 메디컬 캠퍼스(원주문막)는 2개학과(간호학과, 치위생학과), 글로벌 캠퍼스(고성)는 25개학과(경영학과, 호텔경영학과, 외식사업경영학과, 관광항공경영학과, 경영학과, 경찰학과, 중등특수교육과, 한국어교원학과, 보건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실버산업학과, 작업치료학과, 물리치료학과, 응급구조학과, 임상병리학과, 안경광학과, 치기공학과, 해양심층수학과, 컴퓨터공학과, (대명)레저&리조트학과, 건축공학과, 체육학과, 행정학과, 호텔조리학과, 정보보안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부설기관으로 평생교육원, 교육연수원, 국제교육원, 요양보호사교육원,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ROTC, 도서관, 기숙사, 보건센터, 사회공헌인성센터, 교직과정, 문화원, 비전컬리지스, KCU가상대학, KDBS 방송국, 문화편집국, 전산정보원, 보육교사교육원 등이 있으며, 부설연구소로는 관광경영연구소, 건설산업연구소, 디자인연구소, 스포츠경영·산학연구소, 해양심층수연구소 등이 있다.

장학금으로는 해외어학연수 장학금, 우수 신입생 장학금, 면학격려 장학금, 경동가족(형제자매) 장학금, 체육 및 태권도유망주 장학금, 설악권 인재육성 장학금, 창조·자율·봉사 장학금 등 다양하고 폭넓은 교·내외 장학제도를 운영한다. 미국의 조지워싱턴대학, 일본의 벱푸대학·상미대학,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대학, 우랄국립대학 등 총 28개 해외 주요 대학과의 자매결연을 통해 교환학생, 학점교류 등 많은 대외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