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곡 중의 하나.
계면조 음계에 의한 계락시조(界樂時調)의 약칭으로 우락시조(羽樂時調)의 우락과 대가 된다. 남창과 여창으로 두루 불리며, 원래 남녀 창 모두 ‘황(黃)·협(夾)·중(仲)·임(林)·무(無)’의 5음으로 된 계면조였으나, 순조 이후 ‘황·중·임’의 3음으로 된 계면조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종지음은 남창은 탁중려[㑖], 여창은 중려[仲]이다. 남녀 창 모두 5장과 대여음(大餘音)·중여음(中餘音)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1장단이 10점 16박으로 가곡의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가사는 시조시를 사용하며, 명창 하규일(河圭一)의 전창(傳唱)으로 남창에는 <철총마 鐵驄馬>·<솔아래>·<남산(南山)에>·<화란요지 花暖瑤池>·<주국대왕(周國大王)이>·<옥전요궁주관현열신선 玉殿瑤宮奏管絃列神仙> 등 6곡이 전하고, 여창에는 <청산도>·<청산리 靑山里>·<노세노세>·<바람도>·<병풍에>·<한자 쓰고> 등 6곡이 전한다.
가사에 따라 가락이 서로 조금씩 다르며, 남창에서 널리 불리는 가사는 다음과 같다.
[초장] 철총마 타고
보라(甫羅)매 받고
[2장] 백우장전(白羽長箭)
천근각궁(千斤角弓) 허리에 띠고
[3장] 산넘어 구름지나
꿩사녕허는 저 한가한 사람
[4장] 우리도
[5장] 성은(聖恩) 갚은 후에 너를 좇아 놀리라
또한 여창에서 널리 불리는 가사는 다음과 같다.
[초장] 청산리 벽계수야
[2장] 수이 감을 자랑마라
[3장]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4장] 명월이
[5장] 만공산하니 쉬여간들 어떠리
<태평가>를 제외한 다른 가곡들과 마찬가지로 단(單)재비로 된 거문고·젓대·세피리·가야금·해금·장구 등의 관현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이다. 대여음이 전주로 사용되고, 한배는 대개 1분 55정간(井間)이다. 남창은 <평롱 平弄> 다음 <우락> 앞에 부르고, 여창은 <환계락 還界樂> 다음 <편삭대엽 編數大葉>앞에서 부른다.
곡태(曲態)는 ≪가곡원류≫에 “요임금의 바람과 탕임금의 햇살 아래 꽃이 만발한 봄동산 같다.”고 하였다. 담담하면서도 흐르는 물 같은 치렁치렁한 멋과 즐거운 기분을 가진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유예지 遊藝志≫·≪현금오음통론 玄琴五音統論≫ 등 여럿이 있으며, ≪청구영언≫·≪가곡원류≫ 등에 그 가사가 전한다. →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