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저마포(苧麻布)로 만들며, 이등변삼각형으로 배접한 베 조각을 둘로 꺾어 접어서 다시 이등변삼각형이 되게 하고, 터진 두 변에서 밑변만 남기고 다른 변은 붙게 하여 만든다.
고깔의 유래에 대해서는 휴정(休靜)이 처음 만들었다고도 하고, 중국 주나라 때의 관(冠)인 변(弁)에서 시작되었다고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고깔은 ‘곳갈’이라고도 하는데, ‘곳’은 첨각(尖角)을, ‘갈’은 관모(冠帽)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의 형상과 일치한다.
따라서 삼국시대 절풍(折風)과 같은 변형(弁形)의 고유 관모가 고깔의 시원으로 보이며, 이것이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고려·조선으로 이어지면서 다양하게 발전되었다고 본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삿갓·송낙 등도 모두 고깔형 관모에 속하지만, 좁은 뜻으로는 단지 포제(布製)의 삼각건만을 지칭한다. 흔히 상좌(上佐)들이 썼으며 사헌부의 나장이나 관아의 급창(及唱) 등이 쓰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승무·농악·무당 등의 복식에서 일부 볼 수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