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화상선요 ()

구미 천생사 소장 고봉화상선요 본문
구미 천생사 소장 고봉화상선요 본문
불교
문헌
조선 후기, 남송과 원나라 초의 임제종(臨濟宗) 선승(禪僧) 고봉 원묘(高峯原妙, 1238~1295)의 어록에서 발췌한 책으로 강원 이력과정의 사집과에 들어간 불서.
이칭
약칭
선요(禪要)
이칭
고봉선요(高峯禪要)
문헌/고서
편찬 시기
1295년(원 원정 1)
간행 시기
1295년, 1358년, 이후 다수
저자
고봉 원묘(高峰原妙)
편자
지정(持正) 록(錄)·홍교조(洪喬祖) 편(編), 영중(永中)
권책수
1책
권수제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 고봉선요(高峰禪要)
판본
목판본
표제
고봉화상선요, 고봉선요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내용 요약

『고봉화상선요』는 중국 남송 및 원나라 초의 임제종(臨濟宗) 선승(禪僧) 고봉 원묘(高峯原妙, 1238~1295)의 어록에서 발췌한 책으로 조선 후기 강원 이력과정의 사집과(四集科)에 들어간 불서(佛書)이다. 『고봉화상선요』는 화두(話頭)를 참구하는 간화선(看話禪) 수행을 위한 지침서로서 조선시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의
조선 후기, 남송과 원나라 초의 임제종(臨濟宗) 선승(禪僧) 고봉 원묘(高峯原妙, 1238~1295)의 어록에서 발췌한 책으로 강원 이력과정의 사집과에 들어간 불서.
저자 및 편자

고봉 원묘(高峯原妙, 1238~1295)는 중국 송(宋) 말과 원(元) 초의 주8 주9이다. 소주(蘇州) 오강(吳江) 출신으로 15세에 가화(嘉禾) 밀인사(密印寺)에서 출가하여 주1를 배우다가 선(禪)으로 전향했다. 항주(杭州) 천녕사(天寧寺) 등에서 임제종 설암 조흠(雪岩祖欽)에게 수학했다. 오랜 정진 끝에 1279년부터 항주 사자암(師子岩)에 머물었고 1291년 대각선사(大覺禪寺)를 세웠다. 고봉 원묘는 많은 후학을 양성했고 『고봉원묘선사어록(高峰元妙禪師語錄)』 등을 남겼다.

서지사항

1책 목판본. 조선 시대 간본은 1399년 8월 지리산 덕기사(德奇寺) 개간본, 1501년 가야산 봉서사(鳳棲寺) 개간본, 1565년 논산 쌍계사(雙溪寺)본, 1604년 하동 쌍계사본, 1608년 조계산 송광사(松廣寺)본, 1633년 안변 석왕사(釋王寺)본, 1634년 장흥 천관사(天冠寺)본, 1635년 정읍 용장사(龍藏寺)본, 1681년 울산 운흥사(雲興寺)본, 1686년 승주 징광사(澄光寺)본, 1701년 문경 봉암사(鳳巖寺)본, 1731년 묘향산 보현사(普賢寺)본 등 다수가 전해지고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고봉 원묘의 주10인 지정(持正)이 기록한 것을 문인 홍교조(洪喬祖)가 편록(編錄)하여 1295년에 개간했으며, 현존본은 1358년 영중(永中)이 남선집운정사(南禪集雲精舍)에서 중간한 것을 저본으로 한다.

구성과 내용

『고봉화상선요』는 간화선 수행의 요점을 간추려서 설명한 책으로 홍교조의 서문과 주영원(朱潁遠)의 발문이 붙어 있다. 「개당보설(開堂普說)」 1편, 「시중(示衆)」 14편, 「결제시중(結制示衆)」 2편, 「해제시중(解制示衆)」 3편, 「입양시중(立陽示衆)」 1편, 「제야소참(除夜少參)」 2편, 「만참(晩參)」 1편, 직옹(直翁)과 신옹(信翁)과 이통(理通)에게 내린 「법어」 3편, 「통앙산화상의사서(通仰山和尙疑嗣書)」 1편, 「실중삼관(室中三關)」 1편의 총 2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첫 법문인 「개당보설」에서는 방거사(龐居士)의 「시방동취회(十方同聚會)」 법문을 들어서 안심입명처(安心立命處)를 볼 것과 자신의 체험을 예로 들면서 의정(疑情: 의심)을 크게 일으켜 도를 깨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시중」에서는 마음을 밝히려면 일체의 선악을 버려야 하고 대분발심(大憤發心)과 큰 의심으로 일관해서 수행해야 함을 역설했다. 「결제시중」에서는 주4의 요지를 밝혔고, 마지막의 「실중삼관」에서는 3대 가풍을 소개했다. 이 책은 조선 시대에 선승의 필독서로 자리 잡았는데, 조선 후기 강원 이력과정의 주5과 교재로 지정되었다. 사집과는 종밀(宗密)의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고려 후기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이 종밀의 저술을 요약해 주석을 붙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간화선을 주창한 송의 대혜 종고(大慧宗杲)의 편지글을 수록한 『서장(書狀)』과 본서이다. 이는 선교겸수의 방향과 간화선풍의 실천을 아우르는 구성이었다. 앞서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주7벽송 지엄(碧松智嚴: 1464~1534)은 『대혜어록(大慧語錄)』을 보고 의심을 깨뜨리고 『고봉화상선요』를 통해 주11를 떨쳐 내고 깨우침을 얻었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는 본서에 대한 주석서도 나왔는데 연담 유일(蓮潭有一, 1720-1799)의 『선요사기(禪要私記)』,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의 『 선요기(禪要記)』가 대표적이다.

의의 및 평가

본서는 중국 임제종 선승 고봉 원묘의 선 사상과 수행 기풍을 담은 것으로 조선 시대 간화선풍의 제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원전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

단행본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 출판부, 2021)
전재강, 『고봉화상 선요』(일지사, 2002)
통광, 『고봉화상 선요·어록』(불광출판사, 1993)

논문

김명호, 「고봉원묘의 선사상 특질」(『동서철학연구』 80, 한국동서철학회, 2016)
조명제, 「고려말 원대 간화선 수용과 그 사상적 영향 - 몽산, 고봉을 중심으로」(『보조사상』 23, 보조사상연구원, 2005)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중국 수나라 때에, 저장성(浙江省) 톈타이산(天台山)에서 지의(智顗)가 세운 대승 불교의 한 파. 법화경과 용수보살의 중론(中論)을 근본 교의(敎義)로 하고 선정(禪定)과 지혜의 조화를 종지(宗旨)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숙종 2년(1097)에 대각 국사가 국청사에서 처음으로 천태교를 개강함으로써 성립되었다. 우리말샘

주4

≪노자≫, ≪장자≫, ≪주역≫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불교를 배우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네 과목. 사미과(沙彌科) 다음에 배우는 과목으로 서장(書狀), 도서(都序), 선요(禪要), 절요(節要)이다. 우리말샘

주7

어떤 학파를 처음 세운 사람. 우리말샘

주8

중국 당나라 때 임제의 종지(宗旨)를 근본으로 하여 일어난 종파. 우리말샘

주9

선종의 승려. 우리말샘

주10

귀한 사람을 모시고 시중드는 사람. 우리말샘

주11

깨달아서 앎.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