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농악 ()

목차
관련 정보
고산농악
고산농악
국악
작품
문화재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에 전승하는 농악.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에 전승하는 농악.
내용

1984년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84년 7월에 지정되었다. 대흥동은 원래 경산군 고산면에 속하였으며, 고려시대에 곡기(谷己)라 불렸던, 옛 ‘서울나들’에 위치하는 전형적 농촌이며 각성바지 촌이다.

대흥동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동제(상당굿, 중당굿, 하당굿)를 지내는데 중당·하당굿과 길매구 등의 제의농악, 경상도 고유 정월 풍속인 지신밟기의 집돌이농악(문굿·성주풀이·조왕풀이·장고방풀이·용왕풀이·고방풀이·방앗간풀이·마굿간풀이·마당풀이), 윗대에서부터 ‘농사가 잘 되려면 농악을 잘 하라.’는 당부가 전해내려 오듯 논매는 시기의 두레농악이 왕성했고, 농악계가 조직되어 있어 노인회 등의 초청을 받으면 판제농악(판굿)도 펼쳐 주곤 했다.

1983년도 제23회 전국 민속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문공부 장관상(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그 때 받은 상금으로 고산농악대가 발족되었다.

판굿에서는 태극진-3방진-덧뵈기춤-닭 쫓기, 멍석말이-농사굿-개인놀이(법고·장구·징·상모놀이)-뒷풀이로 이어진다. 판굿의 쇠가락 명칭으로 부락마치(길매구가락), 조름쇠, 굿거리 및 살풀이가 있다.

비교적 순수한 마을농악이며, 가락이 소박한 점, 농악기에 나무나발인 ‘목덩강’이 있는 점, 농기수·징수·북수·장구수가 쓰는 흰고깔이 매우 큰 점, 판제에 ‘닭 쫓기’-상모꾼 전원이 서로 손을 잡고 원을 지어 돌면서 닭(양반과 각시)을 쫓는 시늉을 함-를 넣은 점, 악기편성에서 징과 북이 중요시 되는 점 등이 특징으로 꼽힌다.

잡색으로는 양반(1명)·포수(1)·색시(2)가 등장한다. 쇠 2명(상쇠, 종쇠), 징 6명, 북 10명, 소고(상모) 14명, 농기 3명, 나무나발 1명으로 편성된다. 고산농악은 상쇠 장이만(張利萬:남, 1923년생)에 의하여 그 쇠가락이 전승, 보존되어 왔었다.

1997년 현재 대흥동에서 태어나 20여 세부터 고(故) 장이만의 쇠가락을 전수받았고, 오랫동안 고산농악의 종쇠를 담당해 온 정창화(남, 73세)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대구시사』5(대구광역시, 1995)
『농악』(정병호, 열화당,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소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