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농악 ()

목차
관련 정보
고산농악
고산농악
국악
작품
문화재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에 전승하는 농악.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고산농악(孤山農樂)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대구광역시 시도무형유산(1984년 07월 25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에 전승하는 농악.
내용

1984년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1984년 7월에 지정되었다. 대흥동은 원래 경산군 고산면에 속하였으며, 고려시대에 곡기(谷己)라 불렸던, 옛 ‘서울나들’에 위치하는 전형적 농촌이며 각성바지 촌이다.

대흥동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동제(상당굿, 중당굿, 하당굿)를 지내는데 중당 · 하당굿과 길매구 등의 제의농악, 경상도 고유 정월 풍속인 지신밟기의 집돌이농악(문굿 · 성주풀이 · 조왕풀이 · 장고방풀이 · 용왕풀이 · 고방풀이 · 방앗간풀이 · 마굿간풀이 · 마당풀이), 윗대에서부터 ‘농사가 잘 되려면 농악을 잘 하라.’는 당부가 전해내려 오듯 논매는 시기의 두레농악이 왕성했고, 농악계가 조직되어 있어 노인회 등의 초청을 받으면 판제농악(판굿)도 펼쳐 주곤 했다.

1983년도 제23회 전국 민속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문공부 장관상(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그 때 받은 상금으로 고산농악대가 발족되었다.

판굿에서는 태극진-3방진-덧뵈기춤-닭 쫓기, 멍석말이-농사굿-개인놀이(법고 · 장구 · 징 · 상모놀이)-뒷풀이로 이어진다. 판굿의 쇠가락 명칭으로 부락마치(길매구가락), 조름쇠, 굿거리 및 살풀이가 있다.

비교적 순수한 마을농악이며, 가락이 소박한 점, 농악기에 나무나발인 ‘목덩강’이 있는 점, 농기수 · 징수 · 북수 · 장구수가 쓰는 흰고깔이 매우 큰 점, 판제에 ‘닭 쫓기’-상모꾼 전원이 서로 손을 잡고 원을 지어 돌면서 닭(양반과 각시)을 쫓는 시늉을 함-를 넣은 점, 악기편성에서 징과 북이 중요시 되는 점 등이 특징으로 꼽힌다.

잡색으로는 양반(1명) · 포수(1) · 색시(2)가 등장한다. 쇠 2명(상쇠, 종쇠), 징 6명, 북 10명, 소고(상모) 14명, 농기 3명, 나무나발 1명으로 편성된다. 고산농악은 상쇠 장이만(張利萬:남, 1923년생)에 의하여 그 쇠가락이 전승, 보존되어 왔었다.

1997년 현재 대흥동에서 태어나 20여 세부터 고(故) 장이만의 쇠가락을 전수받았고, 오랫동안 고산농악의 종쇠를 담당해 온 정창화(남, 73세)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참고문헌

『대구시사』5(대구광역시, 1995)
『농악』(정병호, 열화당,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