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내산리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에 있는 삼국시대 소가야의 유력 집단이 축조한 고분군.
이칭
이칭
동해면 양촌리 고분
유적/고인돌·고분·능묘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소가야
소재지
경상남도 고성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고성 내산리 고분군(固城 內山里 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남 고성군 동해면 내산리 산170번지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성내산리고분군(固城內山里古墳群)은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에 있는 삼국시대 소가야의 유력 집단이 축조한 고분군이다. 5~6세기경 60여 기의 봉토분이 축조되었으며, 분구묘적 축조 방식과 여러덧널식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장신구류, 마구류 같은 위세품이 부장되고, 특히 당시 신라, 일본, 마한, 대가야와의 교류를 짐작할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고성내산리고분군의 축조 집단은 해상을 무대로 주변 세력과 활발한 교역을 했던 소가야권의 유력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정의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에 있는 삼국시대 소가야의 유력 집단이 축조한 고분군.
위치 및 분포

고성내산리고분군은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북쪽의 노인산과 남쪽의 철마산 사이에 형성된 낮은 언덕과 평지에 자리하며, 동쪽은 적포만(赤浦灣), 서쪽은 당항포(唐項浦)로 이어지는 좁은 해협과 연결된다.

고분군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적포만 해안 일대의 ‘고래실(古來室)’이라고 불리는 해발 1020m 사이의 낮은 구릉 정상부를 중심으로 60여 기의 고분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데, 현재 165호분까지 고분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지름 1520m의 대형 봉토분이 20여 기이고, 1015m 정도의 중형 봉토분 40여 기로 구릉 하단부에 집중되어 있다.

발굴경위 및 결과

고성내산리고분군이 처음 알려진 것은 일제강점기인 1942년으로, 조선총독부가 각 지역별 보물 · 고적 자료를 정리하면서이다. 고성군 내 유적 30개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면서 "동해면 양촌리(陽村里) 고분으로 분류하였으며, 직경(直徑) 약 삼간반(三間半, 약 6.36m)의 고분이 91기가 있고, 그중 7기 등을 제외하면 완전하다."라고 설명하였다.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19972005년, 20192020년에 걸쳐 총 아홉 차례 시굴 조사 및 발굴 조사가 실시되었다. 1997~2005년은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당시 창원문화재연구소)가 가야문화권 유적 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총 7차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1호분, 8호분, 21호분, 28호분 등 대형 봉토분 4기와, 34호분, 36호분, 37호분, 60호분, 62~65호분 등 중소형 봉토분 10여 기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발굴 조사 후 봉토를 복원하여 정비하였으나 고분군 전체에 대한 정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9년에는 고성군이 소가야사(小加耶史) 복원과 고분의 복원 정비 방향을 정하기 위해 40호분, 44호분, 46호분 등 봉토분 3기에 대한 시굴 조사 및 발굴 조사를 강산문화재연구원이 실시하였다. 2020년에는 역시 고성군의 고분군 복원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41~43호분, 45호분 등 봉토분 4기의 고분 범위 확인을 위한 시굴 조사 및 봉토분인 47호분에 대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아홉 차례 조사를 통해 고성내산리고분군의 무덤 및 봉토의 구조와 축조 기법, 출토 유물의 특징이 밝혀지게 되었다.

형태와 특징

고분 축조는 먼저 당시 지표면 중 지반의 높은 곳은 파고, 낮은 곳은 흙을 쌓아 평평하게 한 뒤, 10~20㎝ 정도의 흑갈색 점질토를 깔아 묘역을 만들었다. 흑갈색 흙을 묘역 전반에 까는 모습은 인근 고성송학동고분군(固城松鶴洞古墳群)의 1호분 등에서도 확인된다.

묘역을 만든 이후, 무덤의 주인공이 묻히는 매장 주체부와, 흙을 높게 쌓아 매장 주체부를 덮는 봉토를 만들었다. 매장 주체부의 구조는 구덩식돌덧널과 굴식돌방이다.

대체로 구덩식돌덧널은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까지, 굴식돌방은 6세기 중반 전후로 축조되는데, 이는 다른 영남 지역 봉토분과 마찬가지로 시간 흐름에 따라 매장 주체부 구조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고성내산리고분군 봉토분의 큰 특징 중 하나는 1호분, 8호분과 같이 일정 높이까지 봉토를 먼저 쌓은 뒤 매장 주체부를 만드는 형태와, 34호분, 36호분, 60호분과 같이 일반적인 가야 지역 봉토분처럼 매장 주체부와 봉토를 함께 쌓는 형태가 모두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중 봉토를 먼저 쌓고 매장 주체부를 축조하는 사례는 고성송학동고분군의 1호분, 고성기월리고분군의 1호분, 고성율대리고분군의 2호분, 통영남평리고분군의 10호분 등이 있다. 충청도 · 전라도에 분포하는 백제 · 마한권 고분 중 소위 분구묘(墳邱墓: 분구를 먼저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 시설을 설치하는 무덤)라고 하는 봉토분의 축조 수법과 비슷한 것으로 주목된다.

또 매장 주체부와 봉토를 함께 축조한 무덤 중에는 36호분과 같이 구덩식돌덧널의 구조에서도 나타나지만, 34호분, 60호분 등 굴식돌방의 구조에서 주로 확인된다.

고성내산리고분군 봉토분의 또 하나의 특징은 하나의 봉토 내에 여러 매장 주체부가 순차적으로 축조된다는 점이다. 이를 여러덧널식으로 분류하는데, 대체로 고분 중앙에 매장 주체부가 배치되고 봉토를 덮어 완성한 이후, 매장 주체부 주위를 감싸거나 고분 가장자리를 따라 봉토를 되파고 여러 매장 주체부가 배치되는 양상을 보인다.

앞서 만든 매장 주체부를 파괴하지 않는 점, 일정 순서에 따라 매장 주체부 배치가 이루어지는 점 등을 볼 때, 먼저 축조한 매장 주체부의 위치를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체로 하나의 봉토에 5기 전후의 매장 주체부가 만들어지는데, 21호분의 경우 15기에 많은 매장 주체부가 배치되었다. 영남 지역의 가야권에서 하나의 봉토에 여러 매장 주체부를 축조한 사례는 고령지산동고분군, 합천삼가고분군, 고성송학동고분군, 통영남평리고분군 등이 대표적이다.

고성과 통영의 봉토분의 축조 방식과 동일하지만, 고령지산동고분군은 순차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봉토와 동시에 조성하였고, 합천삼가고분군은 매장 주체부와 봉토를 함께 만들어 순차적으로 덧붙이는 축조 방식이 주로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외에도 봉토의 가장자리에는 도랑 형태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호석(護石)은 만들지 않았다.

한편 고성내산리고분군의 굴식돌방 구조는 널방의 서쪽 중앙부에 널길을 만든 구조이며, 평면 형태가 길쭉한 점이 특징이다. 굴식돌방의 도입은 마한권인 영산강 유역 무덤, 일본 열도의 무덤 등의 외부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길쭉한 평면 형태 등은 재지적 요소로 보기도 한다.

또 고성내산리고분군의 굴식돌방 구조는 고성송학동고분군, 고성연당리고분군, 진주수정봉 · 옥봉고분군 등에도 확인된다.

고성내산리고분군의 무덤 내부에서는 토기류를 비롯해, 장신구류, 무구류, 마구류 등이 출토되었다. 토기류 가운데 뚜껑접시, 굽다리접시, 수평입항아리, 굽다리단지, 손잡이달린접시 등은 고성, 합천, 산청, 진주에서 주로 출토되는 것과 형태 및 제작 기법이 같다.

이러한 토기를 소가야식 토기라고 하며, 소가야식 토기가 나오는 지역을 소가야 토기문화권 또는 소가야 문화권이라 분류하기도 한다.

한편 토기류 중에는 구슬 장식이 있는 굽달린긴목항아리가 8호분 주곽(主槨)에서, 구멍있는작은항아리는 8호분 3곽에서 출토되었는데, 형태를 볼 때 굽달린긴목항아리는 신라에서, 구멍있는작은항아리는 영산강 유역에서 출토되는 것과 비슷하다.

이 밖에 토기류 중 뚜껑접시도 고령 등 대가야권에서 출토되는 것과 비슷하다. 또 34호분에서 출토된 철제 등자(鐙子)는 비슷한 시기에 일본 열도에서 출토되는 것과 비슷하다.

의의 및 평가

고성내산리고분군의 봉토분은 고성송학동고분군의 봉토분에 비해 봉토와 매장 주체부 규모가 작아, 고분이 조성되는 5~6세기경 고성 지역의 지배 집단의 무덤으로 볼 수는 없다. 하지만 60여 기의 봉토분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졌고, 장신구류와 마구류 같은 위세품이 부장되고 있으며, 특히 당시 신라, 일본, 마한(馬韓, 영산강 유역), 대가야와의 교류를 짐작할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고성내산리고분군의 축조 집단은 해상을 무대로 주변 세력과 활발한 교역을 했던 소가야권의 유력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성 내산리 ‘나’지구 시굴조사 및 제47호 시 · 발굴조사 약식보고서』(가야문물연구원, 2020)
『가야 자료 총서 6 –가야 발굴조사 자료편Ⅳ』(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9)
『고성 내산리고분군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40 · 44 · 46호분) 매장문화재 발굴(정밀)조사 결과보고서』(강산문화연구원, 2019)
『2017 고성박물관 특별전 도록 -가야의 해상관문 고성 내산리-』(고성박물관, 2017)
『固城 內山里古墳群Ⅲ』(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2007)
『固城 內山里古墳群Ⅱ』(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2005)
『固城 內山里古墳群Ⅰ』(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2002)

논문

정인태, 「고분 축조기법과 매장의례를 통해 본 소가야권 고분군 축조집단의 성격」(『文物硏究』 38, 재단법인 동아문화재단, 2020)
정인태, 「소가야권 고분 축조기법 검토 –대형 봉토분 · 분구묘를 중심으로-」(『소가야의 고분문화와 대외교류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조성원, 「소가야 토기의 생산과 유통」(『소가야의 고분문화와 대외교류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