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한 용계리에 걸쳐 20여 기가 분포되어 있는데, 아산댐 건설에 따라 1983년 3∼4월에 전주시립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이 지역은 운곡리 마을 앞을 A지구, 그 동쪽을 C지구, 가장 안쪽을 B지구로 구분하였다. 안쪽으로 갈수록 뚜껑돌의 크기가 대형화된다. 가장 큰 것은 B-1호로서 길이 5.0m, 너비 4.5m, 높이 4.0m의 안산암계(安山岩系) 자연석(비중 3.0 내외)을 3개의 굄돌로 받친 것으로 그 무게만도 150t 이상이 된다. 이 밖에도 100t 이상 1기(B-8호), 70t 이상 2기(B-5·6호), 50t 이상 7기, 30t 이상 3기 등이 있다.
용계리 · 운곡리에서 조사된 고인돌의 지하구조는 4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제1형은 뚜껑돌을 3∼7개의 굄돌로 괴고, 지하에 돌널을 만든 다음 주변에 잔돌을 깔았다.
돌널은 동서쪽의 짧은 벽을 1매의 판석을 세우거나 잡석으로 쌓았고, 양쪽 긴 벽 역시 판석 또는 잡석으로 쌓았으며, 그 위에 3∼4매의 판석을 뚜껑돌로 덮었다. 돌널의 크기는 길이 1.2∼1.6m, 너비 0.44∼0.5m, 깊이 0.3∼0.4m 내외이다.
C-2호의 예를 보면 길이 2.1m, 너비 2.06m, 두께 0.9m의 부채꼴 평면의 뚜껑돌을 4개의 굄돌로 괴었다. 뚜껑돌과 돌널의 방향은 북동 60°이다. 돌널의 4벽은 잡석으로 쌓았고, 윗면과 둘레에는 판석을 깔았고, 그 위에 4매의 개석을 덮었다. 돌널의 규모는 길이 1.5m, 너비 0.5m, 깊이 0.5m이다. 개석상면에는 길이 40㎝, 너비 20㎝, 높이 15㎝ 정도의 작은 돌덧널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제2형은 대형 뚜껑돌을 몇 개의 굄돌로 괴고, 그 중앙에 자연판석을 세워 돌널을 짠 것인데 덮개돌은 없다. B-3호의 돌널은 길이 1.1m, 너비 0.6m, 깊이 0.3m의 소규모이다(B-3·4호, C-1호).
제3형은 뚜껑돌을 괸 점은 위와 같으나 지하구조는 없고, 몇 개의 편평한 돌을 깔았을 뿐이다(A-4·6·7호). 제4형은 괴석이나 자연판석을 세워 장방형의 돌널을 만들고, 그 위에 직접 뚜껑돌을 얹었다. 돌널의 벽이 바로 굄돌이 되는 셈이다.
껴묻거리는 없으나, 운곡리 민무늬토기 산포지에서 덧띠겹아가리(粘土帶二重口緣) 토기편 등이 발견되고 있어, 이들 고인돌의 지하구조의 특징과 함께 고려해볼 때, 그 축조연대는 서기전 3세기 말에서 2세기경에 걸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