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과천읍지
과천읍지
인문지리
문헌
경기도 과천군(지금의 과천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목차
정의
경기도 과천군(지금의 과천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내용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예전의 읍지를 그대로 필사하여 새로운 내용이 첨가되어 있지 않다.

이 읍지의 저본은 1871년(고종 8)의 ≪경기읍지 京畿邑誌≫(규장각도서) 속에 들어 있는 <동치10년9월일과천현읍지급사례대개책 同治十年九月日果川縣邑誌及事例大槩冊>과 1891년에 편찬한 ≪부림지 富林誌≫(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이다.

그러나 전자에 있는 읍의 사례가 빠져 있기 때문에 다른 읍지에 통상 기록되는 호구·전결 등의 재정 사항이 이 읍지에는 보이지 않는다.

내용 구성은 사계(四界)·군명(郡名)·건치연혁(建置沿革)·속현(屬縣)·진관(鎭管)·관원(官員)·방곡(坊曲)·성씨(姓氏)·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山川)·도서(島嶼)·토산(土産)·누정(樓亭)·학교(學校)·역원(驛院)·교량(橋梁)·제언(堤堰)·불우(佛宇)·사묘(祠廟)·묘소(墓所)·고적(古蹟)·명환(名宦)·인물(人物)·제영(題詠) 등으로 되어 있다.

이 읍지는 항목마다 항목 설정의 이유와 항목 명칭에 관한 어의(語意)를 서문 형식으로 풀이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한 예로 건치연혁조는 “읍이 때로 폐하고 흥하는 것은 읍의 운에 관계되는 것이요, 읍의 승강(陞降)은 당세의 치란에 관련된 것이다. 한 읍의 연혁으로 그 다스림의 성쇠를 알아볼 수 있으니, 이것이 바로 연혁을 읍지의 첫머리에 싣는 까닭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설명은 읍지의 조목 설정과 항목의 순서 등 읍지의 체재가 일정한 원칙에 입각하여 짜여진 것임을 알려주는 좋은 자료이다.

과천은 서울 부근에 위치한 까닭에 묘소조에 효령대군묘(孝寧大君墓)를 비롯하여 중종의 빈인 창빈묘(昌嬪墓)와 차천로(車天輅)·상진(尙震), 그리고 사육신 등 유명 인사들의 묘소가 다수 기록되어 있다.

또한, 사묘조에는 민절서원(愍節書院)·노강서원(鷺江書院)·창강서원(滄江書院)·사충서원(四忠書院) 등의 소재지와 건립 연혁 및 배향 인물 등에 관하여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부림지(富林誌)』
『경기지(京畿誌)』
『경기읍지(京畿邑誌)』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노도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