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폭도 ()

목차
관련 정보
송하관폭도 / 유운홍
송하관폭도 / 유운홍
회화
개념
문인이 심산유곡의 벼랑에서 떨어지는 폭포수를 완상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산수인물화.
목차
정의
문인이 심산유곡의 벼랑에서 떨어지는 폭포수를 완상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산수인물화.
내용

현실의 어려움에서 벗어나려는 문인의 탈속적 자연관을 대표하는 화제(화題)로 ‘고사관폭도(高士觀瀑圖)’라고도 한다. 이백(李白)이 지은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라는 시와 화의(畵意)가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주로 여름 경관을 배경으로 그려지며 배경산수의 규모에 따라 소경(小景)과 대경(大景)의 두 가지 구성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산수인물화와 마찬가지로 동양 특유의 자연관과 인생관에 바탕을 둔 것으로, 남송(南宋)의 마하파(馬夏派)와 명대(明代)의 절파계(浙派系) 화가들에 의해 많이 그려졌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중기부터 산수인물화의 성행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하였으며, 조선 후기에는 박연폭(朴淵瀑)이나 구룡폭(九龍瀑)과 같은 우리 나라의 실경(實景)을 완상하는 관폭도를 그리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조선 중기의 절파풍에 토대를 두고 그려진 윤인걸(尹仁傑)의 「거송관폭도(居松觀瀑圖)」, 윤정립(尹貞立)·김명국(金明國)·이징(李澄)·윤덕희(尹德熙)의 「관폭도」, 조선 후기의 남종화풍의 영향을 받은 정선(鄭敾)·최북(崔北)의 「수하관폭도(樹下觀瀑圖)」, 이인상(李麟祥)의 「송하관폭도」, 허필(許佖)·김홍도(金弘道)·이명기(李命基)의 「관폭도」가 있다.

그리고 실경관폭도로는 정선의 「박연폭포」, 김홍도의 「비봉폭도(飛鳳瀑圖)」, 이인문(李寅文)의 「수옥정도(漱玉亭圖)」가 유명하다.

참고문헌

「한국절파화풍의 연구」(안휘준, 『미술자료』 20, 국립중앙박물관, 1977)
집필자
허영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